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무조건적인 제한이나 금지보다, 가능한 파괴적 결과를 예민하게 고민하면서 창조적인 방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예쁘다고 생각하고는 있었다. 연예인처럼 눈에 확 뜨이지는 않지만 편안하고 친근하게 예쁜 외모다. 하지만 지금 그 외모에는 이전과는 다른 의미가 있었다. 동작 하나하나, 얼굴과 몸의 선 하나하나가 윤정이 정확하게 해독할 수 없는 정보를 담고 있었다. 은성의 아름다움은 그 알 수 없는 정보의 ...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캡틴 아메리카의 세 번째 시리즈 가 세계 최초로 4월 27일 한국에서 개봉한다. 예고편이 공개된 뒤 1억이 넘는 조회수 ... 승부를 예측해 보자. 이전 시리즈까지 분석하며 다양한 변수를 함께 고려해 승부 결과를 예측해보면 더 재미있게 영화를 관람할 수 있지 않을까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모든 타원방정식을 모듈 형태로 바꿀 수 있다’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깨는 예임을 알아냈다. 만약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이 맞다면 프라이의 방정식은 존재할 수 없는 식이고, 다시 말해 페르마의 방정식(An+Bn=Cn)은 성립할 수 없다. 즉,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면 An+Bn=Cn을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수식으로 신경망을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통역기가 ‘Hello’라는 문장을 ‘안녕하세요’이라고 통역했다면 ‘안녕’이나 ‘여보세요’보다 의미가 정확히 맞을 확률이 높아서지요 ...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스템과 달리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져도 가속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솔라 세일은 5AU(1AU=1억4960만km, 지구 중심에서 태양까지 거리)를 간 뒤에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양성자의 에너지가 분산되면서 가속이 멈출 것으로 추정된다. 비그만 박사는 “태양에서 양성자가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예술계에서 전시를 목적으로 포유류에 유전자를 합성한 건 처음이었다. 그는 이런 예술 방식을 ‘유전자이식 아트(transgenic art)’라고 칭하며 “합성한 유전자를 유기체에 이식해, 세상에서유일한 생명체를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에두아르도 카츠 교수의 ‘에두니아(➋)’. 꽃 ‘페튜니아’의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소비, 하수처리 방식을 개선하면 2025년까지 최대 18%까지 질소배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물론 이를 위해서는 상품별 질소발자국을 계산할 수 있어야 하고, 표시를 의무화해야 한다. 소비자들의 선택이 질소발자국을 줄이는 쪽에 맞춰지면 소비국과 생산국의 산업 및 무역 구조 역시 ...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알 끝이 눌리며 뾰족해진 거랍니다.반면 무척추동물의 알은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어요. 예를들어 식물에 알을 낳는 곤충의 알은 밑면이 납작해야 잎이나 줄기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을 수 있어요.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가시나 털, 다양한 알집으로 몸을 감싼 알도 있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반짝반짝 오로라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공전을 하면서 위치가 바뀜에 따라 별을 보는 각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이용해요. 예를 들어 1월에 보이는 별을 관측하고 6개월이 지난 7월에 태양의 반대편에서 똑같은 별을 보면 위의 그림처럼 두 직선 사이의 각도를 잴 수 있어요. 이 각도를 이용하면 수학 계산을 통해 태양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