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사정은 또 달라진다. 1898년 포터라는 법곤충학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3-10년 된 1백50개의 무덤에서 치즈벌레가 나온 곳은 불과 10곳이었다. 무덤의 깊이는 1-1.5m였다.눈이 녹아 봄에 발견된 시체의 경우 사망시기를 추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법곤충학자들은 사망시기를 용케 잘 찾아낸다. 만약 ... ...
- 드라이아이스 권총과학동아 l1998년 03호
- 변하면서 필름통 안의 기체부피는 증가한다. 1g의 고체 이산화탄소가 기체로 변하면 5백㎤정도까지 부피가 늘어난다. 이 때의 압력으로 인해 필름통 뚜껑은 튀어나간다.고체드라이아이스가 기체로 되면서 부피가 증가하고 필름통을 밀어내는 것도 바로 샤를의 법칙 때문이다.신과림박사의 실험 ... ...
- 전염병 실체 밝힌 세균학의 아버지과학동아 l1998년 03호
- 특정한 병원균이 일으킨다는 사실이 입증됐다.코흐는 인내심을 갖고 실험을 몇백 번이 넘도록 되풀이해 탄저병에 걸린 동물의 혈액을 건강한 다른 동물에게 주입하면 다시 탄저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그리고 그는 두번째 동물에서 채취한 혈액을 세번째 동물에게 주입해도 역시 ... ...
- 필름통으로 만든 물온도계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움직이는 것이다.여기서 만든 물온도계는 실용화 될 수 없다. 우리가 만든 온도계는 1백70년 경 그리스의 의사인 갈렌이 만든 세계 최초의 온도계와 같은 원리다. 그 온도계의 이름은 온도를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의미의 'thermo-scopes'였다. 색소탄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긴 유리관을 담궜다. 관속에 있는 ... ...
- 여자가 남자보다 뇌 손상이 적다과학동아 l1998년 03호
- 크게 줄었다고 ‘신경학’지 97년 12월호에 발표했다. 이것은 1978년부터 1994년까지 2백88명의 여자들을 관찰한 결과로, 에스트로겐 처방과 기억 손상과의 관계를 장기적으로 연구한 첫번째 보고서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에스트로겐 처방을 받은 여자들은 안정된 기억력을 유지한 반면, 그렇지 않은 ... ...
-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과학동아 l1998년 03호
- 김박사가 키워낸 우수한 옥수수들이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또 경북대의 온실에서도 3백여종의 옥수수들이 저마다 북한에 심어지게 해달라고 조르고 있다.싹트기 쉽지 않은 슈퍼옥수수김박사의 방문성과에 힘입어 제자들은 요즘 북한에 보급될 옥수수의 종자증식을 위한 준비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 ...
- 불로장생의 비약, 동충하초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유충간목구형동충하초, 눈꽃동충하초, 노린재동충하초, 벌동충하초, 백강균 그리고 녹강균이 있다.동충하초는 버섯의 일종이지만 다른 버섯과 달리 상당히 까다로운 환경에서 자란다. 대개 공기가 깨끗하고 습도가 높으며, 적당한 나무그늘이 조성돼있고, 자연상태로 유지된 장소에서 잘 발견된다 ... ...
- 과학원리의 만물상 자동차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안전 벨트가 장착돼 있고, 근래에는 안전 에어백이 장착된 차도 많다. 안전 벨트나 에어백은 관성의 법칙 때문에 도입된 안전 장치다.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계속 운동하려고 하는 것이 관성이다. 즉 달리던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걸어 차체는 정지하더라도 ... ...
- 조선시대의 산림보호 정책, 금표와 봉표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임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과거의 발자취를 중요시 여긴다. 왜냐하면 생산과 이용에 수백 년이 소요되는 나무나 숲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이기 때문이다.금표나 봉표가 특히 중요한 이유는 기록으로 남아있는 전적류가 아니라 산림 현장에서 직접 찾을 수 있는 산림 이용 흔적이기 때문이다 ... ...
- 무엇이 IQ를 높이나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적이 있다. 이때 백인들은 사립학교를 다녔지만 흑인들은 학교에 다니질 못했다. 당시 백인 학생의 IQ는 흑인 학생의 IQ보다 6점이나 높았다. 1987년 예루살렘의 헤브루대학 교수인 소렐 카한과 노라 코헨가 국민학교 4,5,6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1년의 학교생활은 단순히 한살 더 먹는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