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소리는 약 3백30m/초 이다. 이는 시속 약 1천2백km/시로 매우 빠른 것 같지만 빛의 속도의 1백만분의 1에 불과한 속도이다. 공기의 온도가 올라가면 음속은 빨라진다.왜냐하면 따뜻한 공기 중에서는 분자들이 더 빠르게 움직이므로 음파가 전달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이다. 0℃ 이상에서 온도가 1℃ ... ...
- 우주의 심연 은하들의 천국과학동아 l1998년 05호
- 해당한다. 동양의 대표적인 별자리인 28수(宿)는 동서남북 각각 7개의 별자리가 청룡, 백호, 주작, 현무의 형상을 만드는데 각자리는 청룡의 뿔에 해당한다.처녀의 모습을 그려보기 위해서는 밤 10시 경 남쪽 지평선과 천정의 중간 지점에서 빛나는 1등성 스피카부터 찾아야 한다. 라틴어로 ‘밀의 ... ...
- 뉴턴역학 실험실 놀이동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이러한 무중력 공간에서는 운동의 제 1법칙인 관성의 법칙이 성립한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마법의 양탄자관성마법의 양탄자는 사람들이 앉을 수 있는 의자가 설치된 양탄자 모양의 구조물 전체를 시계 방향으로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양탄자 위에 앉아있는 사람들에게 공포감을 ... ...
- 1. 프랑스혁명이 탄생시킨 미터법과학동아 l1998년 05호
- 휴일로 삼자고 했다. 또한 하루의 시간도 십진화해서 하루를 10시간으로 하고 각 시간을 1백분으로 나누도록 제안했다.이러한 제안은 곧 입법화됐고 모든 공공 서류들은 새로운 스타일로 날짜를 표기했다. 각 월의 명칭에 대해서는 숫자로 하자는 의견도 강했지만 결국 기후에 따른 명칭을 붙이기로 ... ...
- 밀레니엄버그 천태만상과학동아 l1998년 05호
- R74 1대와 1995년에 도입된 IBM 901942 2대로 운영되고 있다. 앞의 기종은 270밉스(1밉스는 초당 1백만건 처리)이고, 뒤의 기종은 216밉스의 성능을 지니고 있다.다행히 두 기종은 2천년 문제가 해결됐다고 IBM으로부터 확인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국민은행은 올 4월까지 예금과 적금의 연도 표기를 2자리에서 ... ...
- 가장 큰 소수(素數) 찾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38번째 메르센 소수는 M3021377보다 작을 수도 있다. 만약 38번째 메르센 소수의 자릿수가 1백만자리를 넘으면 1천자리마다 1달러씩 더 준다고 한다. 클락슨이 발견한 소수 M3021377(909, 526의 자릿수를 가짐)를 예로 들면, 그는 9백9달러를 받을 수 있다 ... ...
- 기네스북에 없는 곤충올림픽과학동아 l1998년 05호
- bellicosus) 여왕은 매일 3만개의 알을 낳는다. 평균 10년을 산다고 할 때 일생동안 무려 1억9백만개의 알을 낳는 셈이다. 그러나 펜턴은 관찰기록을 남기지 않아 흰개미는 가장 알을 많이 낳는 곤충의 영예를 병정개미에게 넘겨줘야 했다.1937년 보덴하이머와 네르야가 팔레스타인 꿀벌(Apis mellifera)을 1년 ...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5호
- 1기압하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273.15 K로 하고 물이 끓는 온도를 373.15 K로 하여 그 사이를 1백등분한 온도 눈금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섭씨 20도인 상온은 겔빈 온도로 나타내면 293.15 K이다.6. 물질량 : 물질량의 단위는 몰(mol)이며 탄소 (12C)의 0.012 kg중에 있는 원자의 개수(6.02*10 23개)와 같은 ...
- 전생기억은 존재하지 않는다과학동아 l1998년 05호
- 전생이 암시에 의한 환상일 뿐이라는 것을 밝혔다.실험에서는 21-23세의 정상인 남자 2백40명을 최면감수성의 점수에 따라 '높음' '중간' '낮음'의 3군으로 분류하고, 이들이 평소 전생을 믿는지 안 믿는지에 따라 분류해 6개의 소집단, 64명을 선발해 그들을 대상으로 최면전생퇴행(최면을 걸어 전생을 ... ...
- 병주고 약주는 옻나무과학동아 l1998년 05호
- 30여년 동안 수천년의 전통을 가진 칠기문화를 계승 발전시키지 못한 반면, 일본은 지난 1백여년 동안 지속적으로 옻칠연구를 계속해 칠기문화를 대중화시켰기 때문일 것이다.이러한 칠기문화의 성쇠에 대한 두 나라의 차이는 일본이 나무제품을 실생활에 여전히 많이 사용하는 문화적 배경에서도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