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메가톤, 1Mt은 100만t)씩 더해지고 있다.지난 2004년 데이비드 데밍 미국 오클라호마대 지구
물리
학과 교수팀은 거대한 메탄버블을 만난 선박은 침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탐험 저널 ‘사이언티픽 엑스플러레이션’에 실었다. 메탄버블은 점점 수면으로 떠오르면서 팽창한다. 이 거대한 거품과 ... ...
우산 펼치고 지구 띄우는 물방울 조각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작품을 만들고 싶었다. 그래서 물과 전혀 다른 성질을 띠는 기름이나 크림을 떨어뜨렸다.
물리
학을 전공했던 그는 어떠한 재료를 섞으면 물도 다양한 성질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물의 표면장력과 점성을 크거나 작게 만들면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액체 중에서 물은 수은 ... ...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속한 우리 은하에 외계인이 있을 확률이 높아졌어요. 프랑스 파리 천체
물리
학연구소의 아노드 카산 박사 연구팀은 우리 은하에 있는 별 1억 개 정도를 관찰해서 우리 은하에 있 는 항성에는 평균적으로 1.6개의 행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답니다.우리 은하인 ... ...
우주에 또다른 내가 산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메가버스든 풍경이든, 용어는 중요하지 않다. 우주는 여럿 존재할 수 있다. 이론
물리
학자들이 수학을 정교하게 가다듬고 천문학자들이 더 많은 자료를 관측해 모으면 우주의 참모습은 밝혀질 것이다. 지금 독자인 우리가 할 일은, 이런 과정을 책상에 앉아 읽으며 드넓은 우주를 상상하는 황홀한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주장을 ‘기능주의’라고 부른다. 마음의 기능은 뇌나 컴퓨터의
물리
장치와 구별되므로
물리
적 장치에 대한 연구가 정신적 기능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그러나 이와 같은 논증들은 모두 순환 구조로 전제가 증명하려는 결론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런 논증은 정신을 물질로 설명할 수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책상 앞에 앉아 바삐 손을 움직이고 있다. 시네마의 미국 측 책임자인 로버트 린 UC버클리
물리
학과 교수는 “내일(1월 12일) 최종 조립을 앞두고 위성을 모두 분해해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시네마는 길이 30cm 무게 3kg으로 조그맣다. 원래 큐브샛은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1 ... ...
물리
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선하며 첨단 나노소재인 그래핀과 같은 것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이다.
물리
학자들은 요즘엔 컴퓨터단층촬영(CT)까지 동원해 구겨진 종이의 속을 들여다보고 있다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정도로 나왔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큰 수심에 빠졌다. 이미 20세기 초반에 지질학자들과
물리
학자들이 동위원소 측정법을 개발해 지구 암석의 나이를 측정한 결과 그리 어렵지 않게 수 억 년 이상 오래된 암석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지구는 거의 확실히 태양이 탄생하는 과정 중에 생겼을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다른 정보를 처리하고 양손에 지시를 내리며 뇌 훈련이 되는 것이다.실제로 수학과
물리
학 분야의 천재들이 음악에 재능을 보인 경우도 많다. 아인슈타인은 바이올린 연주회를 열 정도로 훌륭한 실력을 가졌고, 하이젠베르크는 피아노를 잘 친 것으로 유명하다. 반대로 위대한 작곡가 바흐는 음과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여지는 많아서 공학에서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많이 씁니다.”김승환 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실제 뇌에 비교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인공신경망도 이런 한계 때문에 주식 시장 예측이나 얼굴을 확인하는 등의 한정된 영역에 머물렀다. 김대식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는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