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의외로 수학이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세렝게티 초원에 사자 10마리와 얼룩말
100
마리가 있다고 생각해 보죠. 다른 조건을 모두 배제하고 자유롭게 놔두면 사자와 얼룩말의 수는 어떻게 변할까요? 아마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개체 수가 오르락내리락 할 겁니다. 사자가 많아지면 얼룩말이 ... ...
Wild Life 자연의 강렬함을 마주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야생동물 사진가들이 오지와 밀림에서 ‘날 것 그대로’의 야생을 마주하며 촬영한 작품
100
여 점이 우리나라를 찾았다. ‘와일드라이프 사진전&증강현실 체험전’이 울산과 대구 등에서 전시 중이다.이글이글 불타오르는 눈동자에디오피아 시미엔산 고지대에 사는 겔라다개코원숭이가 식사를 하고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여러 개의 마디로 이뤄져 있다. 삼엽충 종류에 따라 적은 것은 두 개, 많은 것은 최대
100
개가 넘는 가슴 마디를 가지고 있다. 다른 절지동물이 그렇듯, 삼엽충도 죽고 나면 등껍질이 마디마디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완벽한 모습의 삼엽충 화석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가슴은 각 마디가 각각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새롭게 발전할 분야는 무엇인가요?A 헬스케어 분야를 뽑고 싶습니다. 앞으로는
100
세까지 살 수 있는 고령화 시대입니다. 구급차나 의약품 등을 어떤 스케줄로 공급하고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 연구하는 것이 주목 받을 것입니다.Q 이종욱(안양외고) 저는 수학에 자신이 없는데 그러면 산업공학을 ... ...
PART 2. 파도에도 ‘클라스’가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파도도 충분히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이론적으로 파고가 2m인 파도 ‘하나’는
100
W짜리 전구 250개를 밝힐 수 있는 에너지를 갖는다. 파도의 에너지가 이처럼 강력한 것은 물이 밀도가 크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속도를 말할 때는 공기와 비교를 많이 한다. 하지만 물은 공기에 비해 ... ...
인공지능 ‘Her’, 아직은 시기상조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김 교수는 “의견 차이는 있지만 상당히 많은 전문가가 유진은 튜링 테스트를
100
% 통과했다고 할 수 없다고 한다”며 몇 가지 문제를 지적했다. 일단 5분이라는 시간 제약이 있어서 대화가 별로 길지 않았다. 사람인지 프로그램인지 구별하기에는 너무 짧다는 것이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 ... ...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광물을 채굴하기 위해 2012년 플래니터리 리소시스를 세우고 우주망원경 ‘아키드(Arkyd)-
100
’을 띄워 소행성을 탐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우리나라도 한양대 연구팀이 2018년 NASA의 달 광물 탐사 계획인 ‘리소스 프로스펙터(Resource Prospector)’에 쓰일 시추장비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대천해수욕장까지 이안류 감시시스템을 운영한다. 높이 2m짜리 파도 하나가 이동할 때
100
W 전구 250개를 밝힐 수 있는 에너지가 이동한다. 낭만적이고 시원한 바다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파도지만 마냥 물로만 봐서는 안 되는 파도인 셈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람, 지진, 중력의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식염수를 사용했다. 외부는 ‘폴리 무수물’이라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감쌌다. 두께는
100
μm 정도. 2.4mA의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만든 고효율 배터리미국 MIT 재료공학과 앤젤라 벨커 교수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해 ... ...
[과학뉴스] 바닷속 심해어, “이산화탄소가 맛있어”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내려오는 효과를 낸다. 연구팀은 “심해어가 포집, 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100
만t”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의 약 1.5배 넓이를 숲으로 채웠을 때 흡수할 수 있는 양이다.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