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올해 봄이 시작된 날’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잘못된 거란다.기상청에서 최근 100년 동안의 관측 기록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계절 변화를 알아 봤더니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어. 봄과 가을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크게 달라지진 않았지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을 처리한다고 가정하자. 백의 자리부터 연산을 시작하는 컴퓨터는 아래 10진법 덧셈표 100가지 경우 중에서 답을 찾은 뒤, 이를 다시 자릿수에 맡게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같은 연산을 2진법으로 나타내면 ‘1111011$_{(2)}$+111001000$_{(2)}$’로, 2진법 덧셈표 4가지 중에서 찾아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말을 남기고 시상식 참석을 거절했다. 푸앵카레 추측은 영국 클레이연구소가 제시한 100만 달러의 상금이 걸려 있는 문제이기도 했다. 페렐만은 상금도 거부한 채 지금은 수학을 그만 두고 어머니와 함께 집 근처에서 버섯을 채취하며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필즈상 받고 싶은데 갈 수가 ... ...
- [만화뉴스] 가장 깔끔한 공중화장실을 찾는 방법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그 결과 전체 화장실의 37%를 확인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화장실의 개수가 100개라면 처음 37개의 화장실을 확인한 후에 가장 깔끔한 화장실을 선택하면 되는 셈이다.리아 사이먼즈 박사는 “이 방법은 깔끔한 화장실을 찾는 데에만 쓰이지 않고 가장 마음에 드는 소개팅 상대 등을 찾기 위해 ...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쏙 들어갈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크답니다. 과학자들은 육각형 구름에서 가스가 초속 100m 정도로 돈다고 생각해요. 어떻게 육각형으로 회전하냐고요? 2008년 덴마크공과대학교의 토마스 욘손 연구팀은 원통형 용기에 액체를 채우고 그 안에서 원판을 전동기로 돌리면, 원심력 때문에 액체가 ... ...
- [과학뉴스] 태양보다 1300배 큰 불타는 눈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 별은 크기가 거대한 만큼 밝게 빛나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볼 수 있어요. 태양보다 100만 배나 더 밝게 빛나거든요.하지만 두 별이 매우 가깝게 붙어 있는 쌍둥이별이라는 사실은 이번에 처음으로 밝혀졌답니다. 유럽남방천문대(ESO)에 있는 간섭관측 초대형망원경(VLTI) 덕분이었지요. 이 망원경은 ... ...
- 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열리는 강연은 대부분 학술강연으로 일반인이 듣기에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 하지만 실망할 필요 없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모든 것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우리가 알고 있는 수학자를 비롯한 수학의 역사 대부분은 서양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엄연히 동양에서도 수학은 있었고, 우리나라 역시 수학의 ... 모든 것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Part ➋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100배 즐기기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 ...
- [생활] Google 검색의 비밀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구글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지난 5월 21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2014년 글로벌 브랜드 100대 기업’ 순위에서 구글의 브랜드가 1588억 4300만 달러(한화로 약 163조원)로 전세계 1위라고 발표했다. 29위로 평가된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가 259억 달러(약 26조 6000억 원)인 것을 생각하면 구글의 영향력은 ...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항공기를 타기 위해 긴 줄을 섰을 때, 내가 100번째 있다면 몇 분 안에 항공기에 타게 될지를 계산하는 것도 그의 연구 분야다. 이 문제의 답은 $\sqrt{사람의 수×2}$ 라고 이미 밝혀져 있다.그는 확률 문제 중에서도 적분 가능한 확률과, 임의의 행렬 이론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