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더 어울릴 것”이라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지문인식 센서가 자리 잡는 데 가장
큰
걸림돌은 대면적화다. 지금은 화면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작동한다. 하지만 광학필름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등 기술의 종류를 막론하고 디스플레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도록 만드는 대면적화는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바꿔버리는 것이다.박 교수는 이를 실제 철도 시스템에 적용해봤다. 그의 연구실에는
큰
책상이 여러 개 붙어 있고, 그 위에 철도 모형이 놓여 있었다. 박 교수는 “현실적으로 철도 추돌 실험을 실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철도 모형을 만들어 시뮬레이션했다”며 “모형이지만 세계 표준 시스템을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나라에서 온 관광객이 많았지만 누구 하나 더 가까이 가거나 코끼리의 주의를 끌려고
큰
소리를 내지 않았다. 울타리나 철창 없이도 거리를 지키며 서로를 존중하는 것이다. 대원들 역시 그 옆에서 한동안 멈춰 코끼리들의 모습을 가만히 관찰했다. 처음에는 “훨씬 가까이 있을 줄 알았는데… ...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
수학동아
l
2019년 03호
점 사이 거리를 고려해 k개의 집합으로 나누고 각 집합의 중점을 찾는 문제죠. 이때 가장
큰
집합의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선택하는 것이 클러스터링 문제의 핵심이고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을 쓰면 제멋대로 퍼져있는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요. 비슷한 학습 성취도를 가진 ... ...
[지구사랑탐사대] 신입팀이 5종이나 수료한 비결은? HELE-B4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주제를 좁혀서 깊고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보고 싶기도 하고요. 지사탐 활동은
큰
목표보다는 작은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으로 해내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여러분도 힘내서 꼭 도전해 보세요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털 끝부분부터 잡고 살살 풀어 줘야 토끼가 놀라지 않는답니다. 털 뭉침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사육장에 남아있는 대변이에요. 틈틈이 사육장을 청소해 털에 대변이 붙지 않도록 관리해 주세요. 사육장 없이 실내에서 보호자와 함께 지낸다면 모래와 건초를 깔아 화장실을 따로 만들어 주세요.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입학하는 조선인은 매우 적었다. 대학 졸업자 중 이공계 전공은 5%에 불과했다. 가장
큰
이유는 이공계 전공이 조선인들이 많이 진학하는 사립대학이 아니라 입학하기 어려운 제국대학에 주로 설치돼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인이 제국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일본에 있는 고등학교를 거쳐야만 ... ...
'오로봇'의 부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좋은 시도인 것은 맞지만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무수한 예측값들이 들어간 만큼 이번 연구도 어디까지나 가능성일 뿐 오로베이츠의 이동 속도 등에 대한 기존 고생물학계의 입장을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업계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 심지어 청소년에게까지 약물이 만연해 있다는 폭로는
큰
충격을 낳았다. 약으로 만든 몸의 부작용을 상세히 짚어봤다. “15년 전 전국체전에 나가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했습니다. 단기간에 몸을 만들려고 약물을 네 가지나 섞어 대량으로 투약했어요. 하지만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다행히 구리금파리는 사육이 용이한 종이기 때문에 성장 정보가 잘 알려져 있다.
큰
검정뺨금파리(Chrysomya pinguis) 등 야생성이 강한 일부 종은 사육이 불가능하다. 성장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견해도 사후경과 시간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제 유효적산온도(ADD·Accumulated Degree Days)를 ... ...
이전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