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우"(으)로 총 12,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신고를 하면 심의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신고 기관이 다르다. 피내용의 경우 보건소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경피용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karp.drugsafe.or.kr)으로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신청하면 된다. 단, 경피용 BCG 백신 무료 접종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거의 비슷한 행동 데이터를 만들어 냈다. 또 이전에 학습하지 않은 말 데이터를 입력했을 경우 기존 데이터를 이용해 해당 말 데이터에 적합한 행동 데이터를 만들어 냈다. 오 교수는 “언어와 행동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알고리즘은 이전부터 연구돼 왔지만, 유튜브 영상을 이용해 일상 언어와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서쪽의 인도판 등 3개 판이 한반도 지하를 자극하는 응력의 원천”이라며 “포항 지진의 경우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에서 미친 응력이 더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와 올해 알래스카와 칠레, 멕시코 등에서 발생한 규모 7.0 이상의 대형 지진은 태평양판의 힘이 막강해졌음을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잘 알아보면서 A만 못 알아볼까? 낯선 사람들을 한꺼번에 만난 경우에는 어떨까. 새로운 얼굴에 대한 인식 세포가 생성되기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학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잘 나올 법한 연구만 선택하거나, 충분히 숙성되기 전에 일단 논문부터 발표하고 보자는 경우들이 이 성공률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문화는 논문 수와 같은 정량적인 평가에 치중하는 R&D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내용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최종평가에서 테뉴어를 받지 못하면 즉각 연구소를 떠나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경우에 따라 2~3년의 유예 기간이 주어질 수도 있다. 오웬스 부원장은 “NIH 소속 연구자들은 외부에서 연구 수주를 안 해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성실히 연구해야 할 책임이 따른다”고 말했다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람들이 개미에 관심을 갖는 건 좋은 일이지만, 가능하면 눈으로만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일개미 몇 마리만 채집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수정된 여왕개미가 결혼비행을 통해 수정한 뒤 땅 위에 안착하면, 그 곳에서 새로운 군체가 번식한다. 그런데 소위 ‘싹쓸이’식 채집으로 한 군체, 즉 ... ...
- [Culture] 세인트 앤서니 폭포 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내에 미시시피 강을 끌어와 만든 시설입니다. 그러다보니 시험설비에 붕어가 지나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여름에 강 수위가 높아지면 연구소가 강물에 잠기기도 하고, 건물 하층에서 붕어를 잡기도 한다는데(미국인은 붕어를 먹지는 않습니다) 6주 전에 신청하면 이런 시설을 1시간 정도 견학할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준 사람이었다. 또 신세를 지게 되려나 싶었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이번엔 아무래도 경우가 좀 다른 것 같았다. “그게, 나도 도저히 모르겠어서 여기저기 물어봤거든? 근데 물어본 사람 중에 히라바야시 박사라고, 지금은 일리노이 주립대에서 교수 하는 사람이 있단 말이야. 빛 안 드는 동굴이나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동안 교수님의 지도를 받는 일이 많았습니다. 저는 졸린데 교수님이 계속 설명하시는 경우도 많았지요. 하하. 그로텐디크 교수님은 큰 그림도 볼 수 있지만, 그 안에서 깊이 탐구해야 할 중요한 내용을 찾아서 아주 깊이 연구할 줄도 아는 완벽한 수학자였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온라인에 ... ...
이전2542552562572582592602612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