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햇빛 받아 이산화탄소로 연료 만든다과학동아 l2017.12.04
- 생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어 효율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만든 광나노촉매를 사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이산화탄소를 메탄으로 바꾸는 활성도가 수백 배 증가한다. 특히 이 방법은 태양광에너지를 직접 저장하는 방식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태양전지에서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해 ... ...
- [사이언스 모션] 연구 정량평가 만족하십니까? 동료평가 첫 시도 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잠재력과 의미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에 평가를 받은 IBS 나노입자연구단의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 석좌교수)은 “평가위원 대부분이 이 분야의 저명 학자라 평가가 공정했고, 평가를 받은 경험 자체가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5년 만에 첫 평가를 ... ...
- [나노영챌린지 2017] 물리학도들의 양자컴퓨터 도전기과학동아 l2017.11.30
- 한국나노기술원 전문가들이 멘토로 나섰다. 아주대 팀은 수원에 위치한 한국나노기술원에서 아이디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트랜지스터를 만들고 특성을 측정했다. 결과는 절반의 성공이었다. 양자컴퓨터의 정보처리 단위로 사용할 가능성을 확인하려면 원하는 특성이 80%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나야 ... ...
- [나노영챌린지 2017] 뇌처럼 작동하는 컴퓨터를 위한 입체 메모리과학동아 l2017.11.30
- 만들어서 아이디어대로 전압에 의해 나노막대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했다. 현재는 나노막대를 이용한 광스위치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지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심사를 맡은 신 책임연구원은 “완전히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광스위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로 ... ...
- 소중한 내 스마트폰 렌즈, 드디어 얇아질까 동아사이언스 l2017.11.28
- 자체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렌즈가 개발됐다. 김튼튼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연구위원과 민범기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두께가 사람의 머리카락과 비슷한 0.025mm에 불과한 얇은 렌즈를 개발해 그 결과를 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 ...
- ‘나노영챌린지 2017’ 수상자 발표과학동아 l2017.11.27
- 나노영챌린지 2017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아주대 팀(오른쪽부터 손주이, 이현승, 노기창 씨. 왼쪽 첫 번째는 시상자로 나선 김정원 과학기술정보 ... 아이디어에 점수를 많이 줬다”고 말했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해독 기술 3세대로 진화… 시장 선점위해 ‘합종연횡’동아사이언스 l2017.11.24
- 대표)는 “미생물 군집의 게놈을 해독할 때에 팩바이오를 많이 사용했는데, 최근 나노포어도 시험 중”이라며 “아직은 정밀도가 이슈지만, 장점이 많아 활용 여부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HIV 퇴치 첫걸음... 효소 반응 쉽게 검출한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23
- 면역결핍 바이러스(HIV)가 발현할 때 나타나는 RNA 분해효소의 활성화 여부를 쉽게 확인하는 새 기술이 개발됐다. 박현규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 ...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나노 기술분야 국제 학술지 ‘나노스케일’ 11월 14일자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 ...
- 누가 생각했을까? 친환경 수소 대량생산의 핵심 '스폰지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7.11.22
- 구멍과 터널의 외곽 구조물의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의 수백 분의 1 수준인 100㎚(나노미터, 10억분의 1m)였다. 연구팀은 이 터널 구조가 전하를 전달하는 일종의 고속도로처럼 작용해 전극의 반응성을 높이고, 따라서 산소 발생 효율을 높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김 교수는 “전극은 ‘전하 전달 ... ...
- 해외 석학 참여한 기초과학연구원(IBS) 첫 평가 열기 ‘후끈’동아사이언스 l2017.11.17
- 평가하기 위해 수시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고 말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의 첫 현장평가 중 현택환 단장(서울대 화학생명공학부 석좌교수)의 발표 후 평가위원들이 질문을 하고 있다. 왼쪽이 연구단 평가위원회 위원장인 매슈 로젠스키 영국 리버풀대 교수, 오른쪽이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