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에서 가장 검은 새, 비밀 풀렸다!동아사이언스 l2018.01.12
- 나노컴퓨터단층촬영(CT) 기술을 이용해 최고극락조와 풍조 등 검은 새 5종의 깃털 나노구조를 세밀하게 밝히고, 이들의 빛 흡수율을 측정해 그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새들의 깃털은 마치 전파를 흡수하는 스텔스기처럼 가시광선을 거의 전부 ... ...
- KAIST, 유연하고 충전 빠른 필름형 차세대 전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01.11
- 기술로 기존에 10단계 이상이었던 제조 과정을 1단계로 간소화했다. 또한 기존 금속 나노 용액과 비교해 저렴한 무입자 유기금속이온 화합물 용액을 이용해 핵생성, 열성장, 다결정 금속 막 형성으로 이어지는 특수한 성장 소결 원리를 규명했다. 레이저 조사 조건에 따른 은 전극 형상의 변화. - ... ...
- 부부 머리 맞댄 '나노 입자 리모콘', 세계 최초로 미세 액체방울 원격조종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1.11
- 많다”며 “이번 연구의 계면활성제와 비슷하다, 나노 입자 두 개를 더했지만 결과는 나노 입자 두 개보다 훨씬 대단하다”고 말했다. 논문 제1저자인 양 지지에 연구위원(왼쪽)과 웨이 징징 연구위원. 두 사람은 부부다. - IBS ... ...
- [CES 2018] 삼성, LG,소니... 사람들이 원하는 진짜 스마트 TV는?2018.01.09
- 기술로 꼽힌다. 기존 LCD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가장 바깥쪽인 컬러필터 앞에 나노미터 크기의 편광 소재를 덧붙이는 것이다. 주변의 필요 없는 빛들이 화면의 색을 다르게 보이게 하거나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다. LG전자는 LED 백라이트 크기를 줄여서 수직으로 빛을 밝히는 ... ...
- 소금으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빚어낸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9
- 제조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의미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 소재 전문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해 말 온라인 게재됐다. 2월호 표지논문으로도 선정돼 정식 출판될 예정이다. pixabay 제공 ... ...
- 투명하고 유연한 ‘은 섬유’ 전극으로 OLED 효율 19%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은 나노와이어 전극보다 높고, ITO보다 광전환 효율이 1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은 나노와이어 전극은 선끼리 맞닿는 지점이 생겨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단점이 있었던 반면, 은 섬유 전극은 이런 접합점 없이 하나로 연결된 망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구동했다. 주 교수는 “은 ... ...
- 음주 방지 차량 핸들, 신생아 두상 교정하는 베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2018.01.07
- 제시한 창의적 아이디어로 새로운 사업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노기술 뿐아니라 바이오 등 다른 분야에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은 아이디어를 제안한 팀이 창업을 희망할 경우 해당 기술 보유 연구자와 투자사를 연결하고 법인 설립 등에 도움을 ... ...
- [과학&기술의 최전선] 치매 원인과 종류 구분할 줄 알아야 동아사이언스 l2018.01.05
- 치매도 있다. 루이소체는 뇌의 피질(가장 바깥 부분) 속 신경세포 안에 생기는 nm(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비정상적인 단백질 덩어리로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치매 외에 파킨슨병 등 다른 퇴행성 뇌질환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6년 대한생물정신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 ... ...
- 머리카락 만큼 가는 섬유형 OLED, 입는 디스플레이 상용화 길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8.01.04
- OLED 중 최고 성능”이라고 밝혔다. 연구진은 섬유 표면에 발광층 재료를 수십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의 균일한 박막 형태로 증착시켜 이 같은 고성능 섬유형 OLED를 만들었다. 용액에 섬유를 담가 재료를 입히는 '딥 코팅 공정'을 활용했다. 섭씨 105도 이하의 저온 공정으로 열에 약한 ... ...
- 미생물 메아리로 질병의 정확한 위치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2018.01.04
-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장내에서 생활하는 대부분의 미생물은 약 200㎚(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세포 내 소기관인 가스 운반체 단백질을 발현시켜 부력을 조절해 수중 생활을 한다. 바실리우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과 일부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um Anavaena flos-aquae) 종이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