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1000호 소장 독자가 되겠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학적 소재를 일상적인 대화에서 나누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회상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부모와 자녀가 함께 과학잡지를 읽으면서 지식을 나누는 시대가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생물학 전공이다 보니 DNA 관련된 특집 기사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해군 출신이다 보니 해양 관련 기사도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함께 모여 정보를 공유하곤 합니다. 공상을 위한 아주 훌륭한 토양이지요. 저는 우리나라에서 지적 공동체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어요.”‘소수공상’ 역시 이런 공상의 토대를 가꾸고자 발간한 책이라고 김 교수는 밝힌다. 책 서문에서 ‘소수가 그토록 매혹적인 이유는 소수가 매혹적인 이유를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를 더욱 발전시켜 반도체 개발로 연결하는 데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산업구조로 봤을 때 기초과학이 단지 기초만으로 끝나기보다는 산업적으로 응용 가능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원들에게 항상 기초를 하되 응용에 목표를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수들에게는 좋은 하이테크 사업 아이템들이 많습니다. 그런 분들이 창업을 해야 우리나라도 성장 동력이 생기지요. 지금도 하는 분들이 소수 있지만, 최소 10배는 많아져야 하지 않을까요. 특히 생명과학 같은 경우는 10년 정도 연구 이력을 쌓지 않고는 창업할 수 없는 하이테크 분야예요. 이런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항공기 강국은 어느나라나 군용보다는 민수용 항공기 생산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항공·우주 분야 강국으로 거듭나려면 무엇보다 민수용 항공기를 개발하고 시장을 창출에 성공해야 한다는게 그의 주장이다. 이 과정에서 가장 곤란한 건 역시 외국기업과의 협력이다. 기술이야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사람의 이런 노력이 십수년 이상 쌓이자 마침내 주변 사람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결국 우리나라는 2006년 이후 바이오디젤을 의무적으로 디젤연료에 첨가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마침내 바이오디젤 전용 주유소마저 들어서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런 주유소를 찾아가면 일반 주유소 보다 값이 싸고 ... ...
- 병원에서 귀신도 쫓나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을수 없습니다.소위 빙의라고 하는 현상은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에만 있는 게 아니라 세계에 널리 퍼져 있습니다. 빙의하는 존재도 영혼, 신, 동물, 악마, 심지어는 외계인까지 다양하지요. 기독교나 불교뿐만 아니라 부두교나 각 지역의 토속 신앙과도 관련이 ...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많이 한다. 지나간 시간에 대해 후회하는 것은 정말 도움이 안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뭐든지 실패가 용납이 되지 않는 문화가 있어서 무척 안타깝다는 게 최 교수의 지적이다. 다만 남의 눈치 보지 말라는 이야기를 했다. 결국 자기의 인생이라는 것이다. 최 교수의 개인적인 목표는 후진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석사학위까지 마친 그는 유학을 결심했다. 어떻게 보면 그가 공부하던 당시에는 우리나라 과학계 상황이 녹록치 않았다. 실험실 연구비가 미국의 몇 백분의 1에 불과해 제대로 된 실험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었던 것. 당시 실험실 한 곳의 연구비 규모가 몇 백 만원에 불과했던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교수는 그 이후 곧 원자력연을 그만 두었지만, 그가 처음 시작한 원전 제어계측 시스템은 우리나라가 지금도 외국에 비해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자신하는 분야 중 하나다. 단언할 수는 없지만, 그가 처음 물꼬를 튼 덕분에 독자적인 개발을 계속한 결과 이만한 기틀이 쌓인 것으로도 볼 수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