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메르켈 독일 총리는 어떻게 도청당했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독일 총리의 전화통화 내용을 미국, 영국 등이 10년 간 도·감청해온 사실이 폭로됐다. 우리나라 등 35개국 정상의 통화도 도·감청됐다. 도대체 어떤 방법을 쓴 걸까.독일의 경우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이나 영국 등이 베를린에 있는 메르켈 총리 관저, 독일 연방의회 건물 주변에 도·감청 시설을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송전망은 이런 일이 불가능하다. 유럽은 이미 프로젝트에 착수했고, 러시아와 일본 중국 우리나라도 ‘아시아 슈퍼 그리드’를 논의하고 있다.그렇다면 교류 전기가 아예 사라지는 세상이 올까. 장 교수는 “가까운 미래는 아니지만,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자 제품 ...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과학동아 l2013년 12호
- 3세대는 유도무기를 통해 전자전 능력이 강화되기 시작했다. 현재 퇴역을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팬텀기(F-4) 등도 3세대 전투기에 속한다.4세대부터는 고도의 전자전 능력을 갖추고, 음속의 2배에 가까운 초음속 성능도 갖춰야 했다. 미국의 F-14와 F-15, F-16, F/A-18, 구소련의 미그 29, SU-27, 프랑스의 ... ...
- 과학동아 천문대 개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지난 11월 25일 과학동아를 발행하는 동아사이언스가 서울 용산 사옥에 ‘과학동아천문대’를 개관했다. 서울 한복판에서 밤하늘을 보며 ...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투어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과학동아천문대 개관은 우리나라의 천체 관측 저변 확대에 좋은 영향을 끼칠 겁니다 ...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수준이다. 시기에도 차이가 있어, 미국에서는 거의 대부분 신생아 때 포경수술을 받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신생아 수술 비율이 낮고 사춘기 이전에 받는 경우가 많다. 포경수술을 반대하는 데는 여러 가지이유가 있다. 일단 개인 위생이 과거에 비해 매우 좋아졌다. 목욕할 때마다 포피를 뒤로 ... ...
-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년 동안 매일 치즈를 한 종류씩 먹어도 다 먹을 수 없다’는 말이 있어요. 요즘은 우리나라 레스토랑에도 갖가지 치즈가 나오고 있지요. 빵에 발라먹으면 더욱 맛있는 크림치즈와 고운 가루를 내어 스파게티에 솔솔 뿌려먹는 파마산, 피자에 얹어 꿀을 바르면 더욱 맛있는 고르곤졸라, 토마토와 ...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고교생 팀 정규종목 4위 올라인도네시아 대회는 세계 36개국에서 392개팀이 참석했다. 우리나라도 정규 종목에 12개팀, 창작 종목에 5개팀, 로봇 축구에 4개팀 등 모두 21개 팀이 참석했다. 이중 정규종목 고등부에서 DDS팀은 4위를, 중등부에서 창의7팀이 8위에 올랐다.1위를 차지한 종목은 없었지만 참가 ... ...
- 아리랑 3호, 벌써 1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발사한 지 벌써 1년이 되었어요. 아리랑 3호는 2012년 5월 18일에 발사된 뒤 지구 곳곳의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담아 왔지요. 국내 최초로 해상도 1m 이하로 지상을 관측할 수 있는 ‘서브미터급 위성’으로 개발했기 때문에 지상의 풍경을 높은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의 이름을 딴 보석이에요. 이름부터 심상치 않죠? 너무 비싸서 우리나라에서는 거래조차 거의 없어요. 그래서 보석 전문가가 아닌 이상, 일반인은 그 이름 조차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알렉산드라이트는 빛에 따라 색이 바뀌는 신기한 보석이에요! 보석을 백열등 밑에서 ... ...
- PART 1. 해운대, 몰디브, 마이애미 해변 모두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완화 분야 실무그룹 Ⅲ이 있다. 800명이 넘는 전세계 기후전문가가 참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권원태 기상청 기후과학국장, 안순일 연세대 교수, 정석근 제주대 교수, 이명균 계명대 교수, 김수덕 아주대 교수, 김용건 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사가 참여하고 있다.이번 보고서에서 가장 눈에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