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원청개구리를 비롯해 제비, 화분매개자, 조류 등 각종 생물을 주제로 5월 중에만 약 15차례의 현장교육이 열렸지요. 현장교육은 ‘지구사랑탐사대의 꽃’이라고 불려요. 대원들이 개별 탐사를 시작하기 전, 연구자들과 함께 각 생물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익히는 귀한 시간이기 때문이지요.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초신성이라고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Part 4. 오로라, 보랏빛 띠를 발견하다!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살던 굴토끼 종은 1000여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기 시작했어요. 이후 사람과 살면서 약 80가지의 품종으로 분화했지요. 이처럼 사람과 함께 사는 토끼 종을 통 틀어 ‘집토끼’라고 해요. 한편, 야생에서 사는 토끼는 ‘산토끼’라고 부른답니다. 야생에서 사는 산토끼는 혼자서도 잘 지내지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명한 간헐천인 게이시르가 어원이죠. 높게는 70m까지 물을 뿜는 게이시르는 현재까지 약 1만 년째 활동하고 있다고 추정된답니다. 반사(反射)를 이루는 두 한자에는 모두 손이 있어요. 하나는 화살을 쏘는 손이고, 다른 하나는 되돌아가는 손이죠. 화살을 쏘는 손은 ‘쏠 사(射)’에 있어요.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참이라는 것이다.하지만 프라이 교수의 증명에는 보완할 부분이 있었다. 만약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정수해를 가진다면 모듈러 곡선으로 표현할 수 없는 타원방정식이 존재한다는 것도 증명해야 했다. 이를 발견한 세르 교수가 엡실론 추측이라는 이름으로 문제제기를 했다. 이 문제를 리벳 ... ...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프시케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작가 존티 허위츠의 ‘큐피드와 프시케’는 전체 길이가 약 15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다. 작가는 이 작품을 1cm 정도인 개미 이마에 올려 촬영했다(오른쪽 박스). 이 작품은 18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작품인 ‘큐피드의 키스로 환생한 ... ...
- 노벨상 5대 트렌드- 연령 높아지고, 여성 증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후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23명(수상 당시 미국 국적 2명 포함) 탄생했다. 특히 2000년대 약진이 두드러진다. 2002년에는 물리학상과 화학상 두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일본은 2000년 이후에만 노벨 과학상에서 18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김 정책연구팀장은 “일본은 19세기 후반부터 과학기술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하야부사2에 실려 있다가 류구 표면에 성공적으로 착륙했습니다. 하야부사2는 류구 상공 약 51m 지점에서 마스코트를 자유낙하 시켰고, 마스코트는 6분 뒤 안전하게 땅에 도달했죠. 박스 모양의 마스코트는 미네르바보다 10배 무겁고, 광각 영상카메라, 적외선 현미경, 자기장측정기, 전파측정기 등이 ... ...
- 국제유가가 상승하면, 한국 경제는 불황? 호황?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한때 배럴당 76달러(약 8만5600원) 선을 돌파했고, 북해산 브렌트유는 배럴당 80달러(약 9만 원)를 상회했다. 일반적으로 유가가 상승하면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한국 경제는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실은 그렇지않다. 가장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정한 값을 가진다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이용했다. 칸델라라는 이름은 그로부터 약 10년 뒤인 1948년 제9차 CGPM에서 생겼다. CGPM은 압력이 101 325 N/m²일 때 백금의 응고점 온도에서 흑체 60만 m² 분의 1 면적이 수직방향으로 뿜어내는 빛의 밝기를 1 칸델라로 정의했다. 흥미롭게도 이런 연구는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