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뮤온 빔은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떨어진다. 뮤온 빔이 100나노초(ns·1ns는 10억 분의 1초) 동안 다발 형태로 나왔다가 끊어지고, 다시 나오길 반복하기 때문이다. 뮤온 빔을 연속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설은 캐나다와 스위스에만 있다. 최 교수는 “연속적인 뮤온 빔을 사용하면 물질을 탐색하는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0분의 1이라는 보도는 잘못됐다”며 “충돌 가능성이 있는 시점은 2175~2199년이며, 그 기간 동안 지구와 충돌할 누적 확률이 2700분의 1”이라고 정정했다. NASA는 2016년 베누 탐사를 위해 오시리스-렉스를 발사했다. 이 탐사선은 올해 8월 베누의 궤도에 진입, 9월말 바싹 접근한 뒤 태양계 형성 초기의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측면도 있었지만, 사실상 KMO 시험을 준비하면서 몸에 익힌 것이다. 염 씨는 무려 1년 반 동안 KMO를 준비했다. KMO는 교내대회가 아니기 때문에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하지만 염 씨는 입시와 관계없이 수학을 좋아해 도전했는데, 결과적으로는 입시에 결정적인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비롯해 정시모집에 해당하는 수능 위주 전형이다. 2019학년도를 포함해 최근 3년 동안 각 전형별 선발 비중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그림 1). 전반적으로 학생부 종합 전형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 논술, 특기, 정시 일반전형의 비중이 소폭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논술전형의 경우 2017, 201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올림피아드 단일팀 가능할까? 수학은 남과 북이 해방된 이후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교류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주요 연구분야가 서로 다르다. 우리나라는 순수수학에 집중한 반면, 북한은 순수수학 분야는 거의 연구하지 않고 전력, 석탄, 금속, 철도운수 같은 현장에서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는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름다운 자태와 다양한 색깔, 그리고 달콤한 향기 때문에 ‘꽃의 여왕’으로 불린다. 그동안 원예산업에서는 큰 꽃잎, 화려한 색깔, 오랜 개화 기간, 그러면서도 짙은 향기까지 갖춘 ‘완벽한 장미’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시도를 했다. 최근 과학자들이 장미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며 ‘완벽한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계획대로라면, 삼척을 떠난 기구는 서서히 상승하며 고도 25km에 도달해 170여 km를 2시간 동안 비행한 뒤, 울릉도 앞바다에 떨어질 예정이다. 미리 대기하고 있던 회수팀이 벌룬과 페이로드를 안전하게 회수하면 임무는 성공적으로 끝나게 된다. 하늘 위 실험실, 과학기구과학기구는 보통 성층권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라는 확인 메시지만 나와 있었다. 그러니까, 컴퓨터는 실장과 대화를 하는 동안 부지런히 계산을 하는 대신, “정말로 할래?”라는 말을 표시한 채 답을 기다리면서 멍하니 있었을 뿐이었다. 김 박사는 힘이 빠졌다. 김 박사는 오늘 밤새 계산을 하면 내일 오전까지는 끝낼 수 있지 않을까 ... ...
- [가상인터뷰] 딱따구리도 뇌 손상을 입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나무줄기를 쫄 때 생기는 진동은 사람에게 뇌진탕을 일으키는 충격의 14배에 해당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딱따구리가 진동으로 인해 뇌에 손상을 입는지 아닌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지요. 2011년 중국 연구팀은 딱따구리의 위아래 부리 길이가 달라서 뇌에는 충격이 거의 없다고 주장했어요.컴퓨터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받으며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조작해도 인식이 가능할까?’, ‘과일의 스트레스가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