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말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INTERVIEW 황성호(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은 어떻게 판단을 내리도록 설정해야 할까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운전하려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사람처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필수적으로 적용돼야 할 ... ...
- [과학뉴스] 고래상어 입 속에서 신종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5일, 일본 히로시마대학교 도미카와 고 교수팀은 오키나와현 모토부 지역 바다에서 신종 옆새우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그것도 고래상어의 입속에서 말이에요! 먼저 연구팀은 고래상어의 입속 아가미에서 약 5mm 길이의 옆새우를 발견했어요. 관찰기간 동안에도 번식을 하며 개체수를 늘리는 ...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5일, 미국 퍼듀대학교 람세스 마티네스 교수팀이 카멜레온의 혀처럼 순식간에 벌레를 잡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로봇은 고무처럼 탄성력을 갖고 있는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이에요. 원래 길이의 5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 되는 것까지 ... ...
- [과학뉴스] 뽀글뽀글, 합성가스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1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어윈 라이스너 교수팀이 합성가스(Syngas)를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합성가스는 메탄올이나 암모니아 등의 원료가 되는 가스로, 주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섞은 혼합물로 만들어요. 플라스틱이나 비료 등 일상생활에 흔히 쓰이는 것들을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환자가 입고 있는 로봇의 팔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어요. 또, 지난 2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팀은 의식은 있지만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와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지요.연구팀은 뇌파 분석에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했어요. 먼저 환자 두피에 19개의 전극을 ... ...
- 우주의학 연구에 여성을 빼먹지 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운동기구 개발에도 참여했어요. Q 어떻게 NASA에서 일하시게 됐나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와 함께한 극한환경임무수행(NEEMO) 프로젝트가 계기였어요. 극한 환경인 바닷속에서 생활할 때 사람의 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센서를 이용해 관찰했어요. 연구 결과, 바닷속에서 오래 생활하면 운동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거예요. 이를 ‘보라색 지구 가설’이라 불러요.보라색 지구 가설은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미생물학과 면역학부의 실라디티야 다사르마 교수가 처음 주장했어요. 그는 지구의 생성 초기에 번성한 고세균*의 일종인 ‘호염성 고세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호염성 고세균은 바닷물보다 10배나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빠른 개미, 사하라 은색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되지 않았지. 와! 사막에서 그렇게 빨리 달리다니! 덥진 않니? 2015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난팡 유 교수팀은 우리 몸에 흡수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털이 있단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우리 몸 표면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인 털이 있는데, 이 털은 햇빛을 반사해 은색으로 보여. 또 이 털은 주위로부터 ... ...
- 뇌, 지금 연구 중 이신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교수), 황동연(차의과학대학교 의생명과학과 교수), 김두연(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신경학과 부교수), 김종재(한국뇌연구원 한국뇌은행장,서울아산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 김대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교수), 신안나(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 ...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특정 장소를 좋아하게 만든다!지난 8월, 카이스트 정재웅 교수와 미국 워싱턴대학교 마이클 브루카스 교수 공동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과 약물을 이용해 쥐가 특정 장소를 좋아하도록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먼저 쥐의 뇌에서 행복감을 느끼게 만들 수 있는 뇌 보상회로*에 ... ...
이전2532542552562572582592602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