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안녕하세요! 2020년 새롭게 인사드리게 된 이승재 연구원입니다. 정말 반갑습니다! 앞으로 ‘수학자의 삶은 대체 어떤 모습일까?’라는 질문의 답을 지극히 개인적인 1인칭 시점으로 보여 드리려고 합니다. 투머치토커(TMT)가 되지 않을까 걱정도 되지만 여러분께 최대한 생생하고 재밌는 수학자의 ... ...
- 작은 세계에선 나지! 마이크로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1월에는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로봇이 발표됐어요.주인공은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학교의 제이미 백 교수가 만든 ‘트라이봇’이에요. 형상기억합금은 특정 온도에서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모습을 기억해 돌아오는 금속인데, 트라이봇은 두 다리 사이 마다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달았어요. ...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우리 범고래를 보고 무서워하지만, 실은 상당히 엄마 껌딱지야. 2012년, 영국 엑서터대학교 대런 크로프트 교수팀이 북서태평양에 사는 범고래를 36년간 조사했는데, 폐경기가 지난 엄마 범고래를 떠나보냈을 때 자식이 1년 안에 죽을 확률은 암컷이 5.4배, 수컷은 13.9배나 높은 것을 확인했어. 한편, 201 ...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심리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다른 부서의 여성 연구원들이나 다른 기업에서 연구하는 대학 선후배들과 모임을 만들었고, 꾸준히 만났다. 하지만 여전히 같은 직장, 같은 부서에서 같은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동료가 절실하다. 김 수석연구원이 입사한 지 20년이 다 됐지만 여성 연구원의 비율은 ... ...
- [미국유학일기] 아이폰의 나라에 매료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그 새벽에 부모님께 전화도 하고, 선생님들께도 감사 문자를 보냈다. 참고로 미국 대학은 ‘조기전형(early admission)’과 ‘일반전형(regular admission)’으로 두 번에 걸쳐 지원할 수 있는데, 나는 무조건 캘리포니아공대에 가겠다는 마음으로 조기전형으로 캘리포니아공대에만 지원했다. 내가 ... ...
- [포토뉴스] 상관관계가 보이는 수학 그림의 모습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뚫어지게 쳐다보면 그 답을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마우리치오 포르피리오 미국 뉴욕대학교 교수팀은 특정 현상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반복적인 기호 그림(symbolic recurrence plots)’을 개발했습니다.반복적인 기호 그림은 특정 현상이 발생한 빈도수를 좌표에 나타낸 겁니다. 예를 들어 연구팀은 총기 ... ...
- [수학뉴스] 아사프 나오르, 2019 오스트로브스키상 영예 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스위스 오스트로브스키 재단은 아사프 나오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교수를 2019년 오스트로브스키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019년 11월 6일 밝혔습니 ... 느꼈고, 한편으로 우리가 뭔가 놓치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시상식은 스위스 바젤대학교에서 2020년 1월에 열립니다. ... ...
- [수학뉴스] 무작위한 수 사이에도 규칙 있다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하지만 개수의 적고 많음을 나눌 기준을 정의하지 못했죠. 사라 페루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연구원은 이 기준을 수학식으로 정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초기 수 사이의 간격이 N일 때 최소 수의 개수가 N÷(loglogN)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밝힌 거죠. 이 기준은 소수로 이뤄진 집합에서도 똑같이 ... ...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적용한 것이다. 여기에 크게 공헌한 사람이 응용수학을 전공한 론 페드큐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컴퓨터 과학과 교수다. 페드큐 교수는 스타워즈와 캐리비안의 해적, 해리포터 시리즈 등의 특수효과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아카데미 특수효과상을 수상했다. 어떤가. 이 정도면 스타워즈 시리즈를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모형’을 변형해 ‘좀비 바이러스 확산 모형(SZR)’을 만들었습니다. 최근 영국 셰필드대학교 수학과 박사과정 학생들은 이 SZR 모형을 변형해 개인이 좀비에 맞서 싸울 때, 군대가 싸울 때, 좀비를 피해 숨었을 때로 나눠 인류의 미래를 점쳤습니다. 그 결과 세 전략 모두 시간의 차이만 있을 뿐 168일이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