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있다. 윤 센터장은 “플라스마가 가열되다가 식는 순간이 있는데, 이를 제어해 5~6초 지속할 수 있다면 이온온도 1억 도를 10초까지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세계 최초로 10초 이상 유지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올해 추가로 도입하는 중성입자빔가열장치(NBI)-2를 활용할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콜먼 매달 글을 준비할 때마다 어떤 우주인에 대해 쓸까 적지 않은 고민을 한다. 머릿속에 우르르 떠오르는 사람들 중에 누구를 먼저 쓸까 하는 행복한 고민이지만, 한 달에 한 명은 결코 많은 숫자가 아니기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함께 훈련을 받거나 잘 알고 지내는 우주인만 해도 수십 명이라, ... ...
- [이달의 책] 주변을 둘러봐 과학은 어디에나 있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않을 수 없다. 이 책은 삶과 사회와 유리(遊離)된 과학이라는 통념을 깨고 일상 속에서 함께 성장하는 과학을 보여준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라는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는 복잡다단한 과학의 면면과 윤리적 쟁점을 대중문화를 통해 소개한다.과학 지식은 배우는 것만으로도 재밌을 수 있다. ... ...
- [과학뉴스] 뼈 속에 혈관 있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해 실험하던 중 우연히 혈액세포가 뼈 속을 통과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했다.이를 이상하게 여긴 연구팀은 신남산에틸이라는 화학물질을 이용해 다리뼈를 투명하게 만든 뒤, 시트광 형광 현미경 기법(LSFM)과 X선 현미경으로 다리뼈를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대원들이 입을 모아 남긴 말은 작별인사가 아닌 ‘반드시 또 돌아오겠다’라는 약속이었다. 아직도 미처 찾지 못한 태국의 보물이 많이 남아있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알게 됐기 때문이다. 태국탐사대의 다음 모험은 얼마나 더 멋질지, 벌써부터 기대된다. ... ...
- [본격 게임 채널] 클래시 오브 클랜, 피타고라스 정리로 마법 잘 쓰기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게임 시장에서 클래시 오브 클랜은 꾸준한 업데이트를 통해 출시 이후 지금까지 계속 새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임뿐 아니라 애니메이션도 인기인데요,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애니메이션은 한국어 자막도 제공하니 애니메이션과 게임을 함께 즐겨보세요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안의 모든 별의 질량을 합친 양만큼의 연료를 싣고 가야합니다. 그래서 거의 빛과 같은 속도를 낼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저는 2016년 유리 밀너라는 기업가와 협력해 ‘브레이크스루 스타샷’이라는 장기적 연구 및 개발 프로그램을 출발시켰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 ...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매년 55km, 빨라진 자북의 이동속도지구 자기장을 예측하는 모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세계자기장모델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 산하 ... 자북의 이동 속도는 줄어들었다가 다시 커질 수도 있고, 일시적인 현상인지, 앞으로 지속될 것인지에 대해서도 섣불리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자가 따라 움직여 전기가 만들어지는데, 이때 주변 입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빠르게 가속되다가 서로 충돌해 원자핵이 분열되며 방사성 물질로 바뀐다. 이를 견디기 위해 주노를 만들 때 강철만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티타늄을 썼다.스티브 레빈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주노 ...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현재까지 공간의 배치 상태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격자세포나 경계를 인지하는 세포, 속도를 인지하는 세포 등의 존재가 확인됐다. 하지만 이들 세포가 어떤 상호작용을 통해 기억을 만드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한다. 이 교수는 “얼마나 많은 시간이 흘러야 뇌에 새겨지는 기억과 감정에 대한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