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공의 반발계수를 낮추면 공이 덜 튕겨 나가며, 그 결과 속도가 더 줄어든다. 속도가 줄어들수록 공은 멀리 못 날아간다. 그래서 똑같은 조건에서 공을 쳤을 때 아슬아슬하게 넘어갔던 홈런이 넘어가지 않은 뜬공이 될 확률이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반발계수가 0.01 높아지면 타구 비거리가 2m ... ...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느껴집니다. 수학미술관이니 이 원근법을 보다 수학적으로 파헤쳐 봅시다. 원근법 속 닮음과 비례 원근법은 닮음과 비례를 바탕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같은 크기의 나무가 한 시점에서 거리의 비가 1:2인 위치에 있습니다. 이 두 나무를 눈 앞에 있는 캔버스에 어떤 비율로 ... ...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강을 돌아보던 중에 녹슬어 보이는 지면을 발견했어요. 과거 오염되었던 강의 중금속 폐기물과 쓰레기들이 쌓여 딱딱하게 굳은 지층이었지요. 이인천 복원 당시 이 지층만은 없애지 않고 이전의 더러웠던 강을 기억하고 경각심을 갖자는 의미로 남겨두었다고 해요. 복원뿐만 아니라 후대를 위한 ... ...
- Part 3. 나가고 싶지 않아요! 먹지 말아 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고래 축제의 주인공이지만, 주인공이라 좋은진 모르겠어요. 왜 그러냐고요? 수족관 속 고래 보고, 고래고기 즐긴다! 울산은 예로부터 고래잡이가 성행한 지역이었어요. 하지만 전세계에서 고래의 개체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상업 포경을 금지했지요. 그러면서 울산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탐정 사무소가 털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크지요. 또 핫팩의 껍질은 구멍이 많은 재질로 되어 있어요. 되도록 많은 산소가 핫팩 속으로 들어오도록 하기 위해서지요. 이밖에도 핫팩에는 활성탄이 있어 철의 산화 반응을 촉진해요. 활성탄은 수증기 등을 이용해 숯의 표면적을 늘린 물질로, 안에 물을 품고 있지요. 이 물은 철과 산소가 서로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마린 연구원은 더 많은 생물학적 요인을 포함시키기 위해 헤리티지 프로그램을 계속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마린 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대 우주선을 상상해봤다. arXiv:1708.08649, arXiv:1806.03856, arXiv:1901.0954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이것이 바로 응답시간 분포도예요. 처음 이 아이디어가 떠올랐을 때는 너무 기뻐서 맘속으로 유레카를 외쳤어요. SW 개발에서 수학은 어떻게 쓰이나요?기본적으로 화면을 다루는 프로그래밍은 전부 기하학과 관련이 있어요. 화면은 점, 선, 면을 좌표에서 다룰 수 있어야 원하는 형태를 구현할 수 ... ...
- [쇼킹 사이언스] 외계인의 흔적일까?! 깊은 숲 속 미스터리 서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이번 실험으로 정확히 어느 정도의 밀도에서 얼마만큼의 성장 속도가 달라지는지 알아내고 싶습니다. 또 나무의 재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요. 그러면 지금보다 더 효율적으로 목재를 생산할 수 있고, 더욱 싼 가격에 품질이 좋은 나무를 기를 수 있을 거예요. 결국 나무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뚫린 작은 구멍으로 물을 일정하게 흘려보내 시간을 재는 물시계를 발명했어요. 항아리 속 물의 높이로 시간을 알아냈답니다. 기계식 시계는 13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어요. 톱니바퀴와 수직막대, 수평막대 등으로 구성됐지요. 수직막대가 회전하면 맞물린 톱니바퀴가 함께 회전하면서 시간의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각에서는 조선식물향명집을 일제강점기의 잔재로 간주하기도 한다. 조선식물향명집 속 한글 이름이 단순히 일본 이름을 번역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정 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는 “조선식물향명집이 조선식물명휘 등 일본인이 발간한 식물도감을 참고한 것은 맞지만,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