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흐름을 볼 때도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광학(optics) 위에 광자과학 광자공학 광자기술 등의 학술용어들이 생겨난 것도 최근의 일이다. 광자에 관한 지식 체계가 중요해지고 있다는 뜻이다. 과학철학자로 유명한 하버드대학의 토마스 쿤의 말처럼 과학기술의 시대적 통념, 즉 파라다임(paradigm)이 바뀌고 ...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원리 규명을 위해 유전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최근에 세계적인 과학학술지인 '네이처(Nature)'에 주요 연구내용으로 보고되었다.식물에서 S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분석한 결과 이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된 단백질은 RNA(리보핵산) 분해효소로 작용하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었다. ... ...
- PART.3 어떤 드라이브를 살 것인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추천하는 용량은 대략 6백50MB 정도로, 이정도면 게임은 물론이고 백과사전이나 학술용 데이터베이스를 읽는데도 무리가 없다.이 외에 CD-ROM 구입시 알아야 할 부분으로는 드라이브에 CD를 적재시키는 방식이다. 여기에는 캐디(caddy) 방식과 트레이(tray) 방식이 있는데, 캐디 방식은 디스크를 ...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될지는 카오스의 리듬처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록펠러대학 교수이자 뉴욕학술원 이사인 하인스 페이겔스는 그 중요성에 대해 "이 복잡성의 과학(카오스이론 포함)의 도전을 받아들여 이를 지배해서 그 지식을 새로운 산물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사회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사회가 다음 ...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요크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로렌츠를 재발견한 사람이기도 하다. 요크는 대기과학 학술지에 실려 있는 로렌츠의 논문을 보고서 "이것이야말로 물리학자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라고 생각해 그의 논문을 복사해 주변의 모든 사람에게 돌렸다고 한다.요크는 로렌츠와 스메일의 업적들을 살피면서 ...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지적했듯 이번 메닭 생산이'세계최초'는 아니다. "지난 91년 독일의 다메(K. Damme)가 한 학술지에 이같은 실험의 보고를 한 바 있는데, 그 이후로 연구가 진척되지 못했다고 최근 확인했다"는 정박사의 말이다. 그래서 우리 축산시험장은 상대적으로 쉽게 실험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이들의 ... ...
- 라론형 왜소증 치료법 국내 첫소개과학동아 l1993년 12호
- 이스라엘의 즈비 라론(Zvi Laron)박사가 지난 10월 22일 열린 제43차 대한 소아과 학회 추계학술대회 참석차 내한했다.그의 참석으로 처음 국내에 알려진 라론형 왜소증이란 무엇일까. 라론 왜소증은 성장호르몬에 대한 거부반응과 성장호르몬 수용체의 대부분에 분자적 결함이 있음으로써 생겨나는 ... ...
- 평생 갚아도 다 갚지 못할 스승의 은혜과학동아 l1993년 12호
- 가진 선생과 감히 접촉하기조차 어려웠다. 선생이 작고한 후 학회에서는 추모 기념 학술지를 간행하기도 했고 그 분의 학덕을 중심으로 한 모임도 가졌다.현재 동경 농공대학에는 수제자 한분이 교수로 재직중인데, 필자는 정년을 앞둔 그와 함께 은사이신 도쿠다 박사의 명복을 빌며 살아계신 ...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드디어 1974년 노벨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고 그들의 발견이 처음 게재되었던 학술지 '네이처'(Nature)지의 명성은 구독료만큼이나 치솟게 되었다. 1934년 미국의 즈비키가 예언그렇다면 화제의 대상이 된 중성자별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서 별전체가 중성자로만 이루어진 물체를 말한다. 이 ... ...
- 옮겨 심으면 죽어 버리는 모데미풀과학동아 l1993년 11호
- 한 자락인 남원군 운봉면 모데미라는 한 마을의 냇가에서 발견, 신속 신종으로 발표했던 학술 연구상 매우 가치가 큰 희귀식물이다. 그러나 얼마 후 그곳에서 자취를 감춰버려 자세한 연구도 마치기 전에 절멸되지 않았나 염려됐다.이러한 모데미풀은 우리 학자들의 꾸준한 탐색 끝에 1968년 강원도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