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잠수할 수 있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익룡의 날개에 대한 최근의 논쟁은 영국의
학술
잡지인 '네이처' 최근호에 실린 한 보고서로 시작됐다. 공룡과 동시대에 존재했고 친척이기도 한 날아다니는 파충류, 익룡이 날개 끝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몸을 따라 뒷발까지 이어진 육질의 막을 갖고 있었다는 ... ...
기능성 식품 알고 먹자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제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양생식품(medicated food)이라는 용어가 더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학술
적으로 이러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어 아직 그 명칭이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식품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제품들이 최근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주로 이제까지 소위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꽃밭이 발달된 식물보고에 속한다. 백두산의 고산 식물대는 백두산의 존재가치를 높이고
학술
적인 연구도장 교육도장 그리고 관광명소로 오래 잘 보존해야 할 곳이다 ... ...
'공룡→새'친자설 뒤엎은 '새→공룡'이론 등장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공룡연구가인 오르세프스키는 BCF(Birds Came First)이론을 대중과학지인 '옴니'에 발표했다.
학술
지가 아니고 대중지에 발표한 이유는 결정적인 화석의 증거를 확보하고 있지 못했기 때문. 하지만 이 이론은 그동안 공룡의 자손이 새라는 BADD(Birds Are Dinosaur Descendants)이론이 명쾌하게 해석하지 못했던 ... ...
야생동물 생태연구집념-산야 헤매기 40년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명산 도서 등에서 새와 짐승을 찾아 헤매고 있다.이처럼 야외에서
학술
조사를 할 때는 쌍안경과 망원경, 카메라를 메고 등산복 차림으로 참여하는데, 어떤 때는 간첩으로 오인받기도 했다.1981년 강원도 건봉산과 향로봉에 나섰을 때는 군용트럭이 전복돼 조사도 못하고 ... ...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바꾸고, 그 모습의 변화는 여러가지 효소들의 활성화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현상을
학술
용어로는 '정보전달'이라 한다. 이는 마치 인간이 아름다운 노래라는 정보를 전달 받으면 그것을 청각기관을 거쳐 뇌에 전달함으로써 마음이 흐뭇해지고 즐거워지는 것과 같은 이치다.그렇다면 캘모듈린 ... ...
3. '통신 천국' 미국 온라인 서비스망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객 지원을 온라인상으로 받을 수 있다.이 밖에도 취미나
학술
을 연구하는 1백40여개 동호회와 2백80여개가 넘는 일반 포럼이 주최하는 각종 행사도 연중 끊이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참여가 가능하다. 수십명이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멀티 유저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영국 버밍햄 대학의 고고학자 로렌스 바필드(Lawrence Barfield)박사가 최근에 '영국 고대
학술
지 (British Journal Antiquity)'에 의복을 연구한 것에 대한 요약 평가와 최근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들에 대해 포괄적인 논평을 했다. 가죽 다루는 솜씨 뛰어난 청년'얼음 인간'은 20대 후반에서 30대 정도의 나이였던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의한 저지대의 침수가 될 것이다. 이에 대한 우리들의 생각은 변화하는 대기에 관한 국제
학술
회의에서 지구온난화를 '핵전쟁 다음으로 가장 심각한 위협'이라고 규정한 문구에서 생생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구의 온도상승과 이에 수반되는 기후변화가 과연 우리 생활에 어떠한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그는 사람의 양쪽 눈이 보는 이미지 차이가 입체적인 깊이를 지각시킨다는 사실을 영국
학술
원에 보고했다.그는 마주 향하는 이미지들을 반사시키기 위해 45° 각도의 거울을 사용해 두개의 사진이 보는 사람의 눈을 향해 반사되도록 측면에 배치했다. 이 거울 입체경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 눈에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