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풀리고 꼬이는 DNA, 공기가 만드는 여러 가지 파동에 대한 연구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전 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에도 매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독자 여러분은 어떤 게임을 만들어 보고 싶나요? 다음 게임카페 이야기도 기대해 주세요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만든 글자라서 정사각형틀에 맞추면 오히려 왜곡이 일어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세로로 긴 직사각형틀에 맞춰진 폰트가 나왔고, 그중 하나가 맑은 고딕이다.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만든 폰트도 있다. 표지에 쓰여 있는 ‘수학동아’를 보면 ‘동’의 종성 ‘ㅇ’과 ‘아’의 초성 ‘ㅇ’은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들어 올리면 비눗물 막이 쭉 늘어나면서 원기둥을 만든다. 이때 선생님이 비누막을 자세히 살펴보면 원기둥이 아닐 거라고 말씀하셨다. 그러고 보니 원기둥의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었다. 이재교 독자기자가 정사면체의 모서리를 따라 만든 틀을 비눗물에 담갔다가 들어 올렸다. 과연 비누막은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더워지는 서쪽 모퉁이는 건축가에게 가장 어려운 숙제였다.밀라 주택은 바로 그런 곳에 세워졌다. 건축가 가우디는 새로운 도시의 건설을 이끌어낸, 쾌적하고 건강한 주거 환경에 대한 근원적인 열망을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열망을 온전히 이루기 위해 직교 체계에 근거한, 고전적인 건축의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주축이 된 다국적 연구팀은 4년 동안 시베리아, 그린란드, 미국 등의 고대 인류 유골 세 점과 현대인 110명의 DNA 샘플을 채취했다. DNA 분석 결과 아메리카 원주민은 약 2만3000년 전에 유라시아인으로부터 분리돼 이주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렇게 아메리카로 건너온 원주민들이 약 8000년 동안 ... ...
- [과학뉴스] 고슴도치 로봇으로 혜성 탐사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뛰어오를 수 있고 자신보다 훨씬 큰 장애물도 뛰어넘을 수 있다. 지난 6월 우주의 미세중력권에서 동작 실험을 한 결과 부드럽거나 거친 표면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했다. 제작비도 기존 로버보다 저렴하다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방문한 곳은 이스라엘 중부의 학술도시로 잘 알려진 레호보트 지역이다. 이곳에는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바이츠만 과학연구소, 히브리대의 네 번째 캠퍼스인 농업대학, 국립농업시험장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중 이스라엘에서 유일하게 농업 연구자를 양성하는 학술기관인 히브리대 농업대학을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설계된 보조날개 4개가 달려 있어서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향하도록 비행선의 자세를 잡아준다.필요한 곳으로 쉽게 옮길 수 있고 바로 하늘에 띄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첫 시제품은 10여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30kW급이고, 현재 200kW급을 개발 중이다.이 기업은 ...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헌력에 윤달의 오차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결국 시헌력이 시행되긴 했지만, 반대세력에 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인조 26년, 2월 27일)에도 남아있다. ‘그 역법(시헌력)은 우리나라의 것과 같지 않은 것으로 곧 서양에서 새로 만든 것이었는데, 절기에 조금 앞서거나 뒤진 것이 있었다. ... ...
이전2512522532542552562572582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