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있는 살모사(물론 실제로 어미를 잡아먹는 것은 아니다)는 호주와 극지방을 제외한 전
지역
에서 서식한다. 이미 살모사 한 종만으로도 전세계를 아우르고 있다.뱀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담겨 있는 신체의 비밀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 ...
2013 지구사랑 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울지만 수원청개구리는 낮게 ‘깽깽’ 운다고. 수원청개구리는 경기도와 충청남도 북부
지역
에서만 사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지.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 수원청개구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대. 그래서 내가 수원청개구리를 지키기 위해 이렇게 수원청개구리 탐사대가 된 거지!저기 뚱야도 있네?난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오고 말이야.”도로기상정보체계로 도로에 얼어붙은 얼음 잡는다일반적인 기상예보는
지역
단위로 이뤄지기 때문에 도로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하지만 앞으로는 도로 바로 옆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해 위험을 예측하고 곧 바로 예방대책까지 세우는 시스템을 갖출 예정이다.눈비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따라 사인곡선으로 이동하면, 이동하는 데 쓰는 에너지를 아낄 수 있다.그런데 특정
지역
에 사는 뱀은 사인곡선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이동하기도 한다. 주로 모래땅에서 사는 뱀은 일반적인 뱀과 반대로 이동한다. 먼저 머리와 꼬리를 지지대로 쓰면서 몸통을 옆으로 미끄러뜨린다. 다음에 머리와 ... ...
크리스마스처럼 행복한 수학을 선물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방문해 수학을 즐기는 시간을 가졌다. 전국 규모의 수학, 과학 축전들은 많지만 이렇게
지역
단위의 수학 축전은 흔치 않고, 그 행사를 학생들이 직접 준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서인지 동아리원들은 학년에 관계 없이 친형제들처럼 친하다. 또 일년 내내 수학을 생각하고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DNA의 변화는 엑손 부분에서 일어난 것을 말한다.단백질이 되기 직전 잘려나가는 인트론
지역
과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다른 DNA에서는 염기가 변해봤자 단백질을 만드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왔다.유전자 스위치 원격 조종과학자들은 정크 DNA에 염기가 변할 때도 단백질을 만드는 데 영향이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어찌됐든 UFO 출현은 현재 아시아에서 바람이 불고 있다. 이처럼 어느 특정 대륙이나
지역
또는 일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것을 ‘UFO 웨이브’라 부른다.국내에서는 2012년에 다른 어떤 해보다도 UFO 목격 촬영 건수가 부쩍 늘어났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크게 늘어난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같은 커뮤니티 기능, 휴식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생활공간”이라며 “현대 주거
지역
을 계획하거나 가옥 구조를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메주가 영글고 딱따구리가 반기는 마을마을을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에 조용한 가운데 ‘따닥따닥’ 소리가 들렸다. 무슨 소리일까 ... ...
셰일가스 채취,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문인지 기존 석유 및 가스 채굴 때문인지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같은
지역
에서 이미 10년 이상 석유 및 가스를 채굴하면서 발생한 폐수를 땅 밑 우물에 주입했기 때문이다.클리프 프로히치 텍사스대 교수는 “폐수를 처리하는 땅 밑 우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검토가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반대였다. 지구의 지도는 주변의 가까운 지형을 자세히 그리는 것부터 시작해 점차
지역
을 넓히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20세기 들어서야 비행기나 인공위성을 이용해 높은 곳에서 한눈에 지형을 바라볼 수 있었다. 반면, 달이나 화성 같은 천체는 망원경으로 전체 모습을 바라본 게 먼저였다.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