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DNA의 변화는 엑손 부분에서 일어난 것을 말한다.단백질이 되기 직전 잘려나가는 인트론
지역
과 단백질을 만들지 못하는 다른 DNA에서는 염기가 변해봤자 단백질을 만드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왔다.유전자 스위치 원격 조종과학자들은 정크 DNA에 염기가 변할 때도 단백질을 만드는 데 영향이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얼음에서 물로 많이 변했다. 따라서 바다에서 많은 양의 수증기와 열이 올라와, 북극
지역
대기가 팽창해 고기압이 형성됐다. 그 결과 고기압이 제트기류를 느슨하게 만들어 극진동지수가 음의 값을 갖게 된 것이다.이렇게 제트 기류가 약해지면 주로 찬 공기가 동아시아, 유럽 등 남쪽으로 내려온다 ... ...
2013 지구사랑 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울지만 수원청개구리는 낮게 ‘깽깽’ 운다고. 수원청개구리는 경기도와 충청남도 북부
지역
에서만 사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지. 그런데 안타깝게도 이 수원청개구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대. 그래서 내가 수원청개구리를 지키기 위해 이렇게 수원청개구리 탐사대가 된 거지!저기 뚱야도 있네?난 ... ...
북대서양 ‘꼬마’ 폭풍, 지구 열 순환 돕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중간 규모 폭풍은 지구의 열 순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북대서양
지역
에서 대량의 열을 품은 상태로 형성된 뒤 북극해 부근까지 이동해 보유하고 있던 열을 배출했다. 이 흐름에 따라 해류와 바람도 바뀌었다.렌프류 교수는 “이 폭풍의 역할을 밝혀낼 수 있었지만 언제, ... ...
셰일가스 채취,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때문인지 기존 석유 및 가스 채굴 때문인지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같은
지역
에서 이미 10년 이상 석유 및 가스를 채굴하면서 발생한 폐수를 땅 밑 우물에 주입했기 때문이다.클리프 프로히치 텍사스대 교수는 “폐수를 처리하는 땅 밑 우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검토가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정반대였다. 지구의 지도는 주변의 가까운 지형을 자세히 그리는 것부터 시작해 점차
지역
을 넓히는 방법으로 만들었다. 20세기 들어서야 비행기나 인공위성을 이용해 높은 곳에서 한눈에 지형을 바라볼 수 있었다. 반면, 달이나 화성 같은 천체는 망원경으로 전체 모습을 바라본 게 먼저였다.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같은 커뮤니티 기능, 휴식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생활공간”이라며 “현대 주거
지역
을 계획하거나 가옥 구조를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메주가 영글고 딱따구리가 반기는 마을마을을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에 조용한 가운데 ‘따닥따닥’ 소리가 들렸다. 무슨 소리일까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어찌됐든 UFO 출현은 현재 아시아에서 바람이 불고 있다. 이처럼 어느 특정 대륙이나
지역
또는 일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출현하는 것을 ‘UFO 웨이브’라 부른다.국내에서는 2012년에 다른 어떤 해보다도 UFO 목격 촬영 건수가 부쩍 늘어났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꾸준히 증가하다 올해 크게 늘어난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있는 살모사(물론 실제로 어미를 잡아먹는 것은 아니다)는 호주와 극지방을 제외한 전
지역
에서 서식한다. 이미 살모사 한 종만으로도 전세계를 아우르고 있다.뱀이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는 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담겨 있는 신체의 비밀 때문이다.뱀의 커다란 입은 제 몸 크기의 네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는 의결기관이 아니기 때문이다. 동중국해는 3국의 200해리 중첩
지역
이기 때문에 대륙붕의 경계는 주변국의 협의를 통해 결정될 것이다. 단, 대륙붕한계위원회의 심의 결과에 따라 협상에서 유리 또는 불리한위치에 설 가능성이 있다.망망대해 동중국해에 유전은 어디에“196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