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회생활 못하는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시각과 움직임에 더 많은 영역이 할당돼 있다고 발표했다.기존 연구에 따르면 고위도
지역
에서 진화한 인류일수록 뇌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영역이 크다. 상대적으로 빛이 부족한 환경에 적응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화석을 연구해 네안데르탈인의 안구가 현생 인류보다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 ...
숫사자는 장식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만큼 시야가 좁아 사냥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 밤이 되면 암사자는 시야가 좁은
지역
에서 벗어나 사냥을 시작한다. 숫사자는 여전히 낮에 머물렀던 자리에 남아 있는다. 하지만 단지 쉬기 위함이 아니라 지형 특징을 이용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암사자와 협동하지는 않지만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게일 크레이터에 착륙했다. 물과 바람에 의한 퇴적물이 쌓여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
으로, 중심에는 높이가 5.5km인 샤프 산(아에올리스 몬스)이 있다. 현재 큐리오시티가 탐사 중인 옐로나이프 만은 오래전에 강이나 호수의 바닥이었다. 미생물이 살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해줄 수 있는 장소다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살고 있다. 상록침엽수인 구상나무는 제주도 한라산 해발 1200m지점을 중심으로 제한된
지역
에 분포한다. 두 나무는 최적 환경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서식지 확보를 위해 경쟁할 필요가 없다.그러나 신갈나무와 소나무는 서로 물고 물리는 관계다. 신갈나무는 토양이 깊고 비옥한 곳에 잘 자라는데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수 있다. 이 사이에 있는 사각지대를 관측하는 용도로 쓰는 게 바로 사운딩 로켓이다. 이
지역
을 직접 관측하는 수단은 사운딩 로켓이 유일하다.하늘을 측정하는 로켓‘사운딩’이라는 이름은 항해 용어에서 나왔다. 물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해 무거운 밧줄을 던지는 행위를 일컫는다. 즉 사운딩 ... ...
문명 업은 인류, 등골이 휘었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놓았습니다. 이미 1979년에 영국의 고인류학자 매리 리키 박사가 탄자니아의 래톨리
지역
에서 화산재 위로 걸어간 발자국이 선명하게 남아있는 유적을 발견했습니다. 직립보행을 했다는 분명한 증거 같았지만, 학계는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를 두고 논란에 휩싸여 있었습니다. 여기에 루시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학부모를 대상으로 각 교과의 변화 내용과 학부모의 역할에 대해서 설명회를 했지. 각
지역
에서 참석한 인원은 예상 인원보다 200명을 넘을 정도였어. 울산과 경남은 무려 900여명이 참석할 정도로 학부모의 관심이 아주 뜨거웠대. 설명회에서 전문가들은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선행학습보다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특정
지역
에 사는 사람들이 독감과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하는 횟수가 많아지면, 그
지역
에 독감이 유행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아주 간단한 생각에서 출발했어요. 자신이나 주변에서 독감에 걸린 사람이 있으면 자연히 독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검색할 것이기 때문이에요. 구글은 독감과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음폐수를 50℃ 이상의 고온에서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동시에 음폐수를 주거
지역
방류 수질기준까지 처리하는 멤브레인 결합형 바이오가스 기술로 환경신기술이다. 또 음폐수에 바실러스를 투입하여 분해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도 있다. 그리고 음폐수의 고분자 유기물을 열수분해한 ... ...
북핵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확인시켜 준 계기였다. 방사선 탐지는 그 자체로 매우 신뢰성이 높다. 북한의 실험
지역
인 만탑산의 지형을 보건대, 폭발력이 더 큰 다른 핵실험에 비해 폭발이 더 깊은 곳에서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방사성 물질이 새어 나왔다. 앞으로 대기에서 이번 핵실험에서 나온 방사성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