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횡단광케이블」성사될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유럽북부의 덴마크와 유럽남부의 이탈리아를 잇는 설치방식이 유력시된다.이 국제간
프로젝트
는 만약 실현된다면 동서(東西)간 긴장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임은 물론 세계경제의 흐름 또한 변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일본-소련-유럽을 잇는 또 다른 경제축이 형성될 것이기때문.그러나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최동명군(전산학과)은 "교통이 좀 불편하고 실험시설이 없어서 불편을 느낀다. 강의외에
프로젝트
가 있어서 스스로 알아서 공부해야 하는 점이 대학때와는 다른 것 같다"고 말한다. 과기대의 변화과학기술원의 대덕 이전을 가장 반기는 곳이 과기대다. 과기대는 과학기술원의 학사과정을 맡는다는 ... ...
PART Ⅲ 지능형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밝혔다. 삼단논법을 구사하고지능형컴퓨터가 무엇인가를 이해하기위해선 이
프로젝트
아래 수행되는 세부과제가 무엇이며 각각 개발목표를 어디에 두고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먼저 기능면에서 지능형컴퓨터는 우리글과 우리말로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대화를 가능케하는 것을 목표로 ... ...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식이라는 지적도 없지 않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 분야에 대한 전문가가 부족해 너도나도 '
프로젝트
따기'식의 연구계획을 세우고있다는 비판도 일부에서 제기되기도 한다.뉴로컴퓨터를 상용화한 HNC사도 많은 돈을 벌었지만, 대부분의 고객은 대학이나 연구소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아직은 이 시장이 ... ...
PART2 다가온 우주레저 시대 첫 우주관광여행은 1999년에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돼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의 정부 및 기업들이 함께 참여하는 유럽공동
프로젝트
다. 젠거는 두개의 체계로 구성돼 있다. 마치 큰 비행기가 작은 비행기를 등에 업고 다니는 모습이다. 큰 비행기가 젠거 1단계인데, 이것을 여객기로 개조하면 승객 2백30명을 태우고 서울과 뉴욕을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과 도제(徒弟)' 관계에 비유한다. 어느 대학원생은 자기 공부보다 교수가 맡아 온 연구
프로젝트
에 더 많은 시간을 빼앗겨 자신이 '기능공이나 심부름꾼이 아닐까' 착각하는 때가 있을 정도라고 고백한다.서울대 자연대대학원자치회장을 맡고 있는 송대권군(물리)의 고민은 요즈음 이공계엘리트들의 ... ...
초소형과 슈퍼컴의 극단적 조화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개발은 아직은 초기 단계이지만 미·일등 각국이 경쟁적으로 정부주도의 대규모
프로젝트
를 추진하고 있어 90년대 중에는 일정한 성과가 예상되고 있기도 하다.미국은 현재 DARPA(US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 Agency)가 뉴럴컴퓨터 개발에 착수하고 있으며 서독은 10개년 계획으로 신경회로망연구를 ... ...
㈜터보테크 장흥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무엇보다 기술자립이 필요하다고 느낀 장박사는 CNC국산화가 일생을 걸만한 가치가 있는
프로젝트
라고 생각했다. 과거에는 공작기계의 수치제어가 대개 숙련공의 경험에 의해 이뤄졌다. 주로 수동식 수치제어기가 판을 쳤는데 이 장비의 대당가격은 1천만~1천2백50만원 선이었다. 여기다 컴퓨터를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고장에 대비해 예비부품을 항시 준비해야 한다.마지막으로 남극연구는 연구 그자체도 큰
프로젝트
이지만 연구인원과 장비, 기지를 유지하는데도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남극연구에 긴 역사를 가진 나라들은 반드시 남극연구 전담기관이 있다. 영국 소련 서독 일본 아르헨티나 칠레 등이 ... ...
물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크다. 아울러 많은 것을 선진국에서 배워와야 하므로 국제협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
를 계획대로 완수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이 획기적인 도약을 할 수 있으며, 21세기에 가서 본격적인 입자가속기 건설에 참여할 수 있느냐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관련되는 산·학·연의 모든 ... ...
이전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