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30억개의 염기서열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밝히고 그 배열이 내포하고 있는 중요성을 밝혀내는 것이 현재 추진중인 인류게놈
프로젝트
의 목적이다. 이러한 일은 세포 자신들에게는 매우 쉬운 일일 것이나 인간에게는 실로 가공할 만한 과업이 아닐 수 없다.예를 들어 DNA 한조각이 ACGGTA-GAT 라고 하자. 놀랍게도 이 짧은 조각은 20종류의 ... ...
전산교육전문기관 인기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체계적로 적용할 실습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인사관리 자재관리 등 실제
프로젝트
를 선정, 응용시스템 개발실습을 함으로써 업무경험을 쌓는 효과도 얻고 있다.전자공업진흥회 컴퓨터요원훈련 센터의 '전산전문과정'도 6개월 코스로 정보문화센터 교육내용과 거의 비슷하다. 쌍용컴퓨터 ... ...
PART II 세계의 뉴미디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관계로 영국의 위성방송계획은 IBA가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됐다. IBA는 민방차원의
프로젝트
로서 3개 채널로 서비스를 실시할 방송사업자를 모집한 결과 5개 그룹의 컨소시엄 방식으로 구성된 BSB(영국방송위성)가 영업권을 획득했다. BSB 1호는 89년 8월 발사됐고 크리스마스 때부터 운용을 ... ...
난관 계속되는 우주정거장 건설계획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준비 할 길이 약 1백50m의 우주정거장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미르의 경우에서처럼 미국의
프로젝트
에 있어서도 가장 절실하게 요구되는 기술은 부속우주선들을 로켓으로 쏘아 올려 이미 궤도상에 있는 중심우주선에 한치의 오차도 없이 결합시키는 것이다."소련은 우주정거장 사업에 이미 20년의 ... ...
「X선 레이저 빔」 기술적 난관에 부딪쳐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X선 레이저의 퇴조로 펜타곤의 방어용미사일 계획은 '빛나는 페블'로 선회했다. 올해 이
프로젝트
를 위해 요구된 예산은 거의 세배에 달하는 것이다. '빛나는 페블'의 제안자는 바로 텔러박사의 제자 로웰 우드 주니어였다. 부시 대통령은, 리버모어에서 앞으로 방어용 미사일 계획의 새 희망이 될 ... ...
PART Ⅱ HDTV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지적이다. HDTV는 미국 일본을 비롯 유럽 각국에서도 정부가 직접 진두지휘하는 거대
프로젝트
임을 감안할 때 부처간의 위상정립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HDTV개발은 타분야와는 달리 세계적으로 표준방식이 결정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독자개발을 추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 ...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중동국가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막의 녹지화'(綠地化)라는 거대한 제목의
프로젝트
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사막지역은 대부분 강수량(降水量)이 적을 뿐만 아니라 기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토양 내의 수분증발이 심해 점점 더 황폐해지고 있다. 그런데 고흡수성고분자를 ... ...
「소련횡단광케이블」성사될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유럽북부의 덴마크와 유럽남부의 이탈리아를 잇는 설치방식이 유력시된다.이 국제간
프로젝트
는 만약 실현된다면 동서(東西)간 긴장완화에 크게 기여할 것임은 물론 세계경제의 흐름 또한 변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일본-소련-유럽을 잇는 또 다른 경제축이 형성될 것이기때문.그러나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최동명군(전산학과)은 "교통이 좀 불편하고 실험시설이 없어서 불편을 느낀다. 강의외에
프로젝트
가 있어서 스스로 알아서 공부해야 하는 점이 대학때와는 다른 것 같다"고 말한다. 과기대의 변화과학기술원의 대덕 이전을 가장 반기는 곳이 과기대다. 과기대는 과학기술원의 학사과정을 맡는다는 ... ...
PARTⅠ 16, 64메가 D램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큰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16, 64메가D램에 투입되는 연구개발비의 규모도 국내 어느
프로젝트
보다 대규모라는 점에서 그 비장함을 읽을 수 있다.현재 구상되고 있는 연구비는 93년까지 총 1천9백억원. 민간이 1천3백억원을 투자하고 정부가 6백억원을 지원하도록 돼있다. 64메가D램의 시제품이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