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대해 알려줄게. 저 창문 너머로 무엇이 보이니? 겨울 도심에서 바쁘게 오가는 자동차와 사람이 보인다고? 나도 마찬가지야. 하지만 이미지 인식 AI를 이용하는 나는 인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봐. 모든 것을 숫자의 나열인 ‘행렬’로 인식하거든. 내가 어떻게 세상을 보는지 지금부터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수 있는 이미지 인식 AI를 만들고 있습니다. 범죄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서 사람들의 위치나 이동 방향, 옷차림 등의 정보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죠.이 두 분야를 연구할 때 합성곱신경망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나열해 만든 데이터인데, 1초당 5~60장의 ... ...
- [매스크래프트] #14. 수학으로 표현한 사랑방정식, 나의 마음을 받아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유입됐어요. 젊은이들의 지갑을 노리는 상술이라는 비판도 있죠. 그래도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것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일이잖아요? 우리는 사랑을 수학 공식으로 나타내 볼까요? L.O.V.E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보자!사랑을 뜻하는 영어 단어 L.O.V.E를 식으로 표현해볼게요. 하나씩 ... ...
- 얼마나 알고 있니? 혐오표현 영역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따르면 혐오표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속에 숨은 편견에 대해 스스로 생각하고 다른 사람과 대화를 나눠야 합니다. 여러분은 왜 혐오표현을 사용하고 있나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린이라는 영국 수학자입니다. 갈릴레이, 코페르니쿠스, 칸토어가 워낙 유명한 사람들이어서 그린이란 이름은 약간 생소하실 수 있겠네요. 하지만 그린 역시 21세기를 대표하는 정수론 학자 중 한 명으로 뽑기에 손색이 없는 수학자입니다.그린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테렌스 타오와 함께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정의하기마지막으로 오른쪽 판은 코드가 움직임을 결정하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사람이 게임을 할 경우, 어떤 기준으로 판을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는지 생각해 봅시다. 아마도 다가오는 공의 속도와 이동 각도를 기준으로 판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파악해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겁니다.같은 ... ...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신들이 원하는 게 무엇인지 정확히 모른다”는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의 말처럼, 사람들은 애플카가 기술적으로 테슬라나 구글의 자율주행차보다 얼마나 뛰어날 지보다 애플카가 우리를 얼마나 매료시킬지에 더 큰 기대를 걸고 있다. 2000년대 후반 뒤늦게 나타난 아이폰이 스마트폰 열풍을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만약 연구책임자가 합의되지 않은 상황에서 저자권을 설정하거나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등재한다면 부당한 저자 표시로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한다.2019년 이병천 서울대 수의대 교수가 2012년 발표한 소 복제 관련 논문에 당시 고등학생이던 본인의 아들을 제2저자로 넣고, 이를 강원대 수의대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2019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전두엽 메타제어’ 이론을 제안했다. 사람의 중뇌 도파민·복외측전전두피질 네트워크에서는 주어진 환경에 대한 보상 또는 현재 상태를 예측하는 정보를 처리한다. 두뇌는 이 정보를 통합해 주어진 환경에 적합한 학습과 추론 전략을 찾는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박쥐의 겨우내 도시살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야행성이라 평소엔 눈에 띄지 않지만, 요즘처럼 겨울잠을 자야 하는 계절이 오면 결국 사람과 맞닥뜨리게 된다. 박쥐가 도시로 오게 된 이유는 우리가 그들의 터전을 앗아가버린 탓이다. 동굴성 박쥐의 서식지였던 동굴은 안전을 위해 폐쇄되거나 관광을 위해 밝은 조명과 계단, 사다리가 설치됐다.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