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적용하려고 준비중이다. www.icuri-lab.com매트릭스 핸드폰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던 매트릭스 2
편
에서 주인공 네오가 ‘접속 완료’(I’m in)이라고 말하던 미래 분위기가 물씬 나는 휴대전화기를 기억하는가. 바로 삼성전자가 만든 모델명 SPH―N270다. 안테나가 휴대전화기 본체에 내장된 인테나폰으로,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물질로 변하는 현상이며 자기광학적인 것은 직선
편
광이 자극(磁極)에서 반사하면 타원
편
광으로 변하는 현상공기가 흐르는 현상이나 공기의 흐름이 물체에 미치는 힘 또는 흐름 속에 있는 물체의 운동 등을 조사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이것이 풍동)를 가지고 하는 실험 ... ...
크리스마스 선물 집에서 프린터로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설계해서 곧바로 프린터에 보내면 인쇄돼서 책상 옆에서 나오거나 지구 반대
편
사무실의 고객이 즉시 받아볼 것이다.이렇게 3차원 인쇄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제품을 즉각 만들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지도에 포함된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제품의 미소구조가 세심하게 제작되기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즐기는 멕시코와 같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도 위암발병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다. 지난 20년간 고추소비량이 2배 이상 증가한 미국에서도 위암의 발생률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멕시코에서 실시된 역학조사 결과도 고추 섭취량과 위암발생과는 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 ...
광통신 세계적 개척자 백운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졸업하는 학생은 외국 학술지에 대략 10개의 논문을 발표한다. 다른 대학의 경우 두
편
도 못내는 경우가 많은데 말이다.이런 까닭에 광주과학기술원은 광통신 분야에서는 세계 수준의 연구기관으로 성장했다. 그리고 지역사회 발전까지 가져왔다. 광주과학기술원은 광주 광산업의 모체가 되고 있다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휴대폰 결제가 보
편
화되면 해외 여행을 떠날 때 해당국가의 화폐로 환전해야 하는 불
편
함도 사라지게 된다. 동전의 짤랑거리는 소리를 그리워할 날이 얼마남지 않은 것이다 ... ...
3 새들의 사투리 방방곡곡 가지각색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새끼에게 말을 가르치는 소리, 알을 품는 중임을 알리는 소리일 수도 있다.그런데 한
편
으로는 저렇게 울어도 목이 아프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안타깝다. 하지만 새들은 하루종일 울어도 목이 쉬거나 상하지 않는다. 왜 그럴까. 사람의 경우 목 안쪽 성대가 진동하면서 소리를 낸다. 추운 날씨에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주파수를 일괄하는 범위 이 성질은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큰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편
의상 30KHz를 기점으로 하고 주파수 10배마다 구분하여, 그 사이의 주파수 범위를 특정주파수대로 하여 각각에 명칭을 붙이고 있다 또 전파의 속도는 공기속에서 1초 동안에 30만km이기 때문에, 구분을 3의 배수로 ... ...
최초의 나노과학자 돌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시청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돌턴의 조각상이 서있다. 맞은
편
에는 그의 제자이며 열역학 제1법칙을 발견한 제임스 줄의 조각상이 있다.돌턴의 시대보다 훨씬 더 과학기술에 의존해 살아가는 오늘이지만, 과학과 사회는 더 멀게 느껴진다는 점에서 과학자들이 돌턴을 ... ...
성큼 다가선 성층권 비행선 시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비행선을 적극 활용했다. 선단과 함께 움직이는 비행선은 잠수함들의 천적이었다.한
편
우리나라는 `‘짧지만 굵은’ 비행선의 역사를 갖고 있다. 최초의 국산 비행선은 지난 1986년 한국기계연구소가 제작한 8m급 무인 비행선이었다. 이 비행선은 설계부터 풍동시험, 가장 중요한 재질인 헬륨 기낭용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