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것이다.월식이 진행 중인 달을 장시간 찍어보는 것도 하나의 테마가 될 것이다. 서쪽
편
중천에 걸린 달부터 시작하여 2시간 가량 일주촬영을 해보면, 달이 점차 어두워지면서 달의 일주선 굵기가 가늘어지는 효과를 찍을 수 있다. 개기식이 포함되면 달의 이미지가 가는 붉은 선으로 나타나지만,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비해 밀도가 높다 고밀도변형태를 이용하여 새 물질을 합성할 수 있다 하나의 결정
편
(結晶片)에 수백개 이상의 소자를 집적한 회로 어느 정도 전기전도성을 발현하는 고분자화합물의 총칭 고분자 재료에 구리 · 은 · 흑연 등의 도체를 분산시킨 것은 이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이미 이루어진 고분자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고래가 숨을 쉬기 위해 주기적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눈으로 하는 조사가 더 유용한
편
이다. 음파를 사용하는 방법도 혹등고래 등 일부 고래종만을 추적하는 데나 적합할 뿐 개체수 추정에는 별 도움이 안된다.최근에는 유전자를 이용해 같은 무리의 계통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주한 뒤 최근 약 3만년 전까지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살았던 것으로 설명한다 한
편
약 6만~7만년 전 초기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동한 뒤 다시 여러 대륙으로 집단 팽창했다는 이론은 '아프리카 기원설2'다일련의 특이한 염기서열이나 여러 유전자들이 가깝게 연관돼 한 단위로 표시될 수 ... ...
기타줄 불태우는 산소의 인해전술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흐르느냐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므로 열이 발생하는 정도는 다르다.철은 저항이 작은
편
이라서 열이 그리 많이 발생하지 않지만, 가느다란 강철솜은 단면적이 작아서 저항이 커진다. 따라서 강철솜에 전류가 흐르면 많은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이 강철솜에 불을 붙이는 것이다. 또한 강철솜은 가늘기 ... ...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 있다. 더구나 그동안 신문과 잡지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한 과학시론과 서평 또한 2백여
편
에 이른다고 하니 놀라울 뿐이다.왕성한 활동을 이끄는 힘은 뭘까. 이 교수는 웃으며 “특별한 비결은 없다”고 했다. 더구나 다른 사람들이 얼마의 기간 동안 어떻게 번역을 하는지 자세히 알지 못하기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발견되기도 했다.하지만 호너 교수의 자문 덕에 일반인에게 낯선 장면도 등장한다. 3
편
에서 독특한 입모양에 반달형 등판을 한 공룡 스피노사우루스가 등장해 티라노사우루스를 처참하게 무찌르는 설정은 다소 과장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라노사우루스는 최강의 육식공룡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노트북이나 PDA보다 나은점이 무엇일까. 마니아들은 태블릿PC가 노트북 성능에 PDA의 간
편
함을 가졌다는데 후한 점수를 준다. 노트북과 휴대단말기의 특성을 고루 갖췄다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잉크’라는 독특한 필기 입력방식은 태블릿PC와 노트북의 차이를 가르는 기준이다.최근 인기를 모으고 ... ...
숫자에 씌워진 복면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옆의 식과 같다.9 5 6 7+ 1 0 8 5----------1 0 6 5 2복면산은 다른 퍼즐에 비해 만들기가 쉬운
편
이라 듀드니 이후 후배 퍼즐 작가들이 수많은 걸작들을 만들어냈다. 특히 40+10+10=60이 문장으로도 말이 되면서 복면산도 되는 멋진 작품들은 ‘이중으로 옳은 복면산’으로 불린다.FORTY 29876TEN 750+ TEN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5월 15일이며 다행스럽게도 이 무렵 상당히 좋은 조건으로 혜성을 관측할 수 있다. 한
편
이 혜성의 근지점 통과일은 5월 6일이며 0.32AU 만큼 가까워진다. 이 거리는 가장 가까울 때의 지구와 금성의 거리 정도라고 보면 된다.니트혜성은 5월이 시작되면서 큰개자리에서 나타나 이후 급속도로 북상한다.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