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사람의 몸에 전기가 통하는 특징을 이용하면 위조가 불가능해진단다.미래에는 밖에서
집
안을 맘대로 조종하거나 멀리서도 내 컴퓨터를 쉽게 쓰는 등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올 거야. 이 때는 바이오인식기술이 더욱 중요해. 확실하게 나를 확인할 수 있는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자라는 풀 위에 알을 낳는데,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집
으로 가져간다. 그 뒤 나비의 알이 부화하면 개미는 열심히 먹이를 물어다 애벌레를 애지중지 키운다. 그렇다면 개미는 왜 나비의 알을 자신의 알이라고 착각하는 걸까. 내시 박사는 개미가 자신의 알을 독특한 ... ...
세계 IT 트렌드의 현장, 소비자가전 전시회(CES) 2008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펼쳐지면 911 서비스에 자동으로 사고를 신고하는 기능이다. 게리 샤피로 CEA 회장은 “
집
안에 있는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이 차 안으로 들어가고 있다”며 “차안에서 인터넷과 엔터테인먼트, GPS 내비게이션과 위성방송 서비스를 모두 누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port 3 인터넷과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999년 노벨상을 받았다. 연구 결과는 리보솜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이 다양하며, 각자의
집
으로 이동하는데 특별한 규칙이 있다는 사실을 암시했다. 블로벨 박사는 단백질마다 ‘우편번호’를 가져 제 위치를 찾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가설을 제시했다. 어떤 단백질이 우편번호 역할을 하고 어떤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많았으나 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그는 “아시아바퀴가 밭에서는 유용하지만
집
안으로 들어오면 문제라 해충을 없애는 데 바로 도입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농약 대신 해충을 없애는 데 바퀴를 이용하려면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컴퓨터로 열대어 키운다 컴피쉬 COMFISH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수온만 입력하면 그 숫자에 맞게 발열장치가 작동하지. 열대어는 대개 25~28°C를 좋아하니
집
이나 사무실 온도가 대개 16~20°C인 것을 감안하면 조금은 따뜻하게 해줘야겠지.그런데 열대어마다 살 수 있는 용존산소량이나 수온이 다르다고? 말했잖아. 난 열대어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고. 전용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양의 레고 블록도 어떻게 쌓느냐에 따라 다양한
집
을 지을 수 있다. 물질도 마찬가지다. 같은 원자라도 그 배열과 구조에 따라 다양한 물질이 된다.KAIST 고체이론물리연구실은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는 산실이다. 하지만 실험장비는 찾아보기 어렵다. 신물질은 컴퓨터 안에서 탄생하기 때문이다.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동시작업이 가능한 데스크탑 환경에 맞게 구현한 응용프로그램들의 커다란
집
합체라고 할 수 있다사용자가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화면을 통해 중앙의 서버로부터 비디오를 선택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동영상 자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15~30초 정도로 설정하면 무난하다.이렇게 찍은 사진들을 포토샵 같은 이미지 편
집
프로그램에서 합성하면 도시의 멋진 야경을 배경으로 달이 움직이는 궤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달은 제 갈 길을 향해 발길을 옮길 뿐이다. 하지만 저녁 무렵 달을 한번쯤 올려다볼 여유가 있는 사람에게만은 ‘친절한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정하다는 사실을 이용한 연소시계 등을 만들었어요. 이제는 굳이 밖에 나가지 않아도
집
안에서 시간을 알 수 있는 거죠. 하지만 그런 시계들도 대략적인 시간만 알 수 있어요! 정확하게 몇 시 몇분인지 알 수 있는 시계가 필요하단 말이에요! 무거운 추가 태엽을 움직이게 하고 그 힘으로 분침과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