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카이로프랙틱 식물인간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먼저 연료에 대해 살펴보자. 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연료는 크게 산소와 포도당으로
구분
된다. 산소는 숨을 들이쉴 때 폐로 들어온 후 혈액을 통해 온몸의 세포로 전달된다. 포도당은 음식을 먹었을 때 장에서 흡수돼 혈액을 통해 세포로 이동한다.연료의 전반적인 공급을 책임지는 담당자는 ... ...
21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서비스하고 있는 차량들이 표시된다. 빈차인지 화물을 싣고 있는지의 여부도 색깔로
구분
돼 표시된다. 만일 화물차가 필요하다는 요청이 들어오면 가장 가까이에 있는 차량에게 연락해 서비스하게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공차율을 줄이고 물류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차량관제시스템은 ... ...
무중력 어디가 위 어디가 아래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우주에서 생활하다가 지구로 되돌아 왔을 때 문제가 된다.④생리학적으로 위와 아래를
구분
할 수가 없게 된다. 자기 몸이 평형 상태에 있는지 혹은 회전하고 있는 지를 느끼는 감각기는 우리 귀의 안쪽(내이)에 있다. 그런데 이런 감각 기관은 중력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예를 들어, 우리의 머리가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멕시코까지 뻗어 있는 3개 지역을 말한다. 아프리카 열대우림지역은 네 부분으로
구분
되며, 북위 10도와 남위 5도의 대서양 해안을 걸쳐 분포하지만 모두 부분적으로 파괴된 상태다.한편 동남아시아 지역이라고도 불리는 말레이시아 열대우림은 파푸아뉴기니를 포함한 말레이 군도를 말한다. ... ...
소화기관은 안일까 밖일까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터널로 생각할 때 소화기관은 몸의 안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사실 몸의 안과 밖을
구분
하는 문제는 굉장히 중요하다. 세포막을 생각해보면 쉽게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세포의 안과 밖의 구별은 세포막에 의해 이뤄진다. 그리고 안과 밖의 환경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신체의 안과 밖의 ... ...
엘니뇨가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지역에서 날씨와 기후의 변동은 매우 크다. 따라서 엘니뇨에 의한 영향을 뚜렷하게
구분
하기 어렵다.그러나 엘니뇨는 전지구 규모의 대기 운동과 깊은 관계가 있다. 동아시아 지역도 예외일 수 없다. 그래서 현재 한국도 엘니뇨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연구를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자신의 생존방식을 지켜나가도록 한다. 이러한 생식기능은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으로
구분
된다.성이란 무엇인가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 채찍꼬리도마뱀에 이르기까지 많은 생물이 무성생식을 한다. 박테리아는 먼저 몸의 크기를 두배로 성장시킨 다음에 반으로 갈라지면서 두개로 증식한다. ... ...
① 사하라 사막에서 서울 주식 시세 파악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따라 초장파, 장파, 중단파, 단파 초단파, 극 초단파등으로 나뉘는데, 이는 인위적인
구분
일 뿐 연속적으로 존재한다.우리나라 전파법에서는 '인공적인 유도없이 공간을 전파하는 3천GHz이하 주파수의 전자파'로 전파를 규정하고 있다. 이동통신은 1백MHz이상의 주파수 대역중 방송용을 제외한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펑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중시한다. 사이버펑크족들에게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경험과 현실 세계에서의 경험을
구분
하는 일은 무의미한 짓이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이버스페이스의 경험은 감각적·의식적으로 현실과 구별할 수 없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사이버펑크족들은 사이버스페이스를 통해 실제 생활에서 겪는 ... ...
백조의 머나먼 여행은 시작되고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61번 별도 쌍성이다. 노란색의 5등성과 6등성으로 이루어진 이들은 작은 망원경으로 쉽게
구분
된다.1838년 독일 천문학자 베셀 (F.W. Bessel)은 삼각 측량으로 이 별의 연주시차(지구가 공전궤도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생기는 시차)를 측정해 최초로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해냈다. 이 별은 맨눈으로 볼 수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