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 이는 행성이 나닌 갈색왜성일 가능성이 큰 것이다.. 실제로 행성과 갈색왜성을
구분
해내는 일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최근 허블우주망원경은 타우루스자리에 있는 TMR-1이라는 항성계의 주변에서 행성으로 보이는 천체를 '직접'발견했다. TMR-1은 쌍성계이며 발견된 생성인 TMR-1C는 이 쌍성계로부터 ... ...
2. 창의성 축구+한국형 실리축구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짧은 2:1 패스와 현란한 개인기로 중앙 돌파 공격 방법을 이용하는 남미 스타일로
구분
한다. 그러나 최근의 경향은 전통적인 유럽과 남미 스타일을 고집하기보다는 서로의 장점을 취해 경기 운영을 하는 추세이다.유럽 스타일의 축구 종가 잉글랜드가 그 좋은 예인데 94년 미국 월드컵 본선 탈락의 ... ...
1. 과학이 제시한 16강 비책 5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단언했다.체육과학연구원의 신동성 박사 또한 운동형태를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을
구분
해볼 때 축구선수의 운동능력은 90% 이상이 무산소운동능력에 좌우된다고 밝혔다. 때문에 외부 산소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체내에 들어있는 산소만을 소비해서 잠깐동안 최대의 힘을 발휘하는 1백m 선수와 ... ...
침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극소화한 앉음새이다. 우리는 이처럼 접촉면적의 넓고 좁음으로 장유존비(長幼尊卑)를
구분
했다. 효율은 낮아도 백열등이 적격지면보다 낮은 움집에서 살며 지열을 이용하던 조상들이 지상생활을 시작한 목적 중의 하나는 채광 때문이다. 이처럼 적당한 채광과 일광의 자외선은 위생상 매우 ... ...
인터넷 스포츠 월드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아기자기하면서 멀티미디어 성격이 강하다는 것. 투데이, 최신 뉴스, 톱 스토리 등으로
구분
해 놓은 '뉴스'(News)에서는 전세계 주요 언론이 보도한 월드컵 관련 뉴스들이 망라되고 있다. 주최자가 준비한 보도자료도 검색할 수 있다. 프레스 키트, 이미지 뱅크를 순서대로 누르면 월드컵의 주요 ... ...
Ⅱ. ②해부: 남녀의 신체특성9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 임신 9주째 외형으로 성별
구분
사람의 생명은 정자와 난자가 만난 순간에 시작된다. 수억개의 정자 중에서 단 한개의 정자가 난자와 만나는데, Y염색체를 갖고 있는 정자가 난자와 만나면 남성이 되고, X염색체를 갖고 있는 정자가 난자와 만나면 여성이 된다. 성별이 결정되면 그에 따라 남성호르몬 ... ...
뉴턴역학 실험실 놀이동산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앞으로 간다고 당연하게 생각한다. 심지어는 어떤 경우든지 정지와 운동을 명확히
구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정지란 움직임의 반대말처럼 인식되고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지해 있으면 힘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정지=힘이 없다’라는 인식이 힘과 운동의 개념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 ...
보이지 않는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표현한다. 물론 반대되는 표현으로 소음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사실 소음과 음악을
구분
하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 왜냐하면 소리를 느끼는 것은 사람들의 주관적인 감각이기 때문이다. 한 사람에게 들리는 듣기 좋은 음악도 다른 사람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비록 소리를 느끼는 것이 ... ...
2. 인터넷 속의 단위 이야기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예를 들면 km를 Km나 kM로 쓰는 것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즉 대문자와 소문자를 정확하게
구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흔히 자동차 속력을 표시할 때에도 60 km/hr라고 쓰는 것은 틀린 것이다.즉, 60 km/h 라고 써야 한다. 또 글을 쓸 때에도 숫자와 단위 사이에 한칸을 띄어야 하므로, '3백 mm 길이'는 맞는 ... ...
Ⅰ. ①두뇌: 남자 좌우 뇌 차이 크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최근에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뇌량 크기의 차이몸이 좌우로
구분
되는 것처럼 뇌도 좌우 반구로 나뉘어 대칭적인 구조를 이룬다. 해부학적 구조뿐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대칭이다. 예컨대 팔과 다리를 움직이는 운동신경중추는 뇌의 양 옆에 대칭적으로 위치한다.하지만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