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나머지는 수학, 천문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등으로 다양한 분야를 전공했다. 항공우주공학 이외의 분야가 인공위성 개발에 중요한 유관 분야지만, 이 분야들의 전공자는 얼마든지 인공위성 개발 이외의 다른 직업을 택할 수 있다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늦고 오래 걸리는데 단기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자연과학에서 실패할 수밖에 없단다. “공학은 테크닉을 알면 되지만 자연과학은 테크닉보다는 주변을 보는 폭넓은 마음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박 센터장에게 인생의 최종 목표를 물었다. 그는 현재 그 목표를 향한 단계 중 어느 단계에 있는 ...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더 열대 생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애쓰고 있었다. 요즘에는 바이오에너지와 생명공학 소재로 주목받는 미세조류인 스피루리나를 키우고, 산호를 비롯해 각종 해양생물을 보존하는 연구에 열심이다. 센터의 대표적인 업적인 흑진주 양식도 빼놓을 수 없다. 2007년 시범 양식에 성공한 뒤 현재 상업 ... ...
- 스무살 GIST, 칼텍과 손잡고 노벨상 꿈꾼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자리였다.유산균으로 아토피 잡는다4개 연구팀의 연구과제는 신소재공학에서부터 생명공학, 나노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2005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로버트 그럽스 칼텍 교수와 이재석 GIST 교수는 새로운 고분자 물질 합성법을 연구하고 있다. 새로운 고분자 물질은 친환경에너지를 만드는 ... ...
- 불면 깨질라! 세상에서 가장 얇은 유리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세상에서 가장 얇은 유리가 기네스북에 올랐다. 주인공은 지난 2012년 미국 코넬대와 독일 울름대 연구팀이 만든 유리로, 두께는 원자 두 개 크기다. 너무 얇아서 전자현미경으로 보면 규소와 산소 원자를 구분할 정도다.우연한 발견이었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제조하던 도중 그래핀 위에 묻어있는 ...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투명 차양의 재료”라고 설명했다. 금속과 차별화된 장점도 있다. 한흥남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배터리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뒷면이 플라스틱 재질이 아니면 안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드럽게 휘면서도 원상태로 돌아오는 탄성이 있어야만 배터리 교환부분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다. ... ...
- 동물을 조종하는 키워드는 ‘본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KAIST) 해양시스템공학부 이필승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본능을 이용해 동물을 원격으로 조종하는 기술을 개발했어요.연구팀은 실제로는 없는 장애물을 가상현실로 ‘보게’ 만드는 ‘순·역자극 장치’를 청거북에게 달았지요. 청거북은 검은색 물체를 피하려는 본능이 있기 때문에 가상현실로 ... ...
- 재미있는 전공탐험 - 원자로를 컴퓨터에 넣고 연구하는 전산로 물리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전산(원자)로 물리란? 컴퓨터 코드와 원자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물리적인 현상을 컴퓨터로 계산하고 해석하는 일입니다. 원자로 내에서는 핵연료들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배열이 돼야 골고루 반응이 일어나고 출력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열을 설계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 ... ...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미래 실제로 공사 현장에서 중장비의 쓰임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강인석 경상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사람이 손으로 하던 일을 중장비가 하게 되면 공사 품질이 균일해지고 기간이 단축된다”며 “머지않은 미래에는 공사 현장에서 사람이 다칠 일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뿐만 아니라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안전하다는 뜻이다.원전 문제를 비판적인 눈으로 보고 있는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도 “우리 수산물은 먹어도 좋다”고 말했다. 후쿠시마에서 흘러나온 치명적인 오염수는 우리 바다로 오는 대신 쿠로시오 해류에 실려 동쪽(태평양)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다.그런데 바닷물이 돌다보면 ... ...
이전248249250251252253254255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