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원은 네 명이었다. 이들에게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는 상상하기 힘들었다.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 마련된 천랩의 한켠에는 당시 고락을 다짐했던 네 사람이 추운 겨울에 함께 찍은 사진이 있다. 시린 바람이 부는 듯한 건물 야외에서 두꺼운 옷을 입고 찍은 사진이다. 냉혹한 벤처의 최전선에 선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공부를 그만큼 안했다는 이야기다. 대학교 때는 나이트클럽에 빠졌다. 김 교수는 전기공학, 전자제어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모두 동국대에서 했다. 학부 80학번이다. 춤추는 걸 좋아해서라기보다는 나이트클럽 분위기가 무척 마음에 들었다. 하지만 2학년 때부터 소위 정신을 차렸다. “1학년 때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높아서 ‘왜 그러냐’고 물어보면 ‘왜 그러면 안 되냐’는 답이 돌아왔지요. 반대로 공학을 하는 사람인데 디자인 감각이 뛰어난 경우도 있고요. 콘텐츠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양쪽을 다 잘 하는 게 성공하는 길입니다. 실제로 그런 사례를 아주 많이 봤어요.”노 교수는 사실 학창 시절에 그런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건축은 스스로의 세계를 계속 넓혀가고 있다. 가장 오랜 시간 인류와 함께 해 온 공학이자 예술이니, 인류의 보편적인 요구에 두루 부응하는 건 자연스러운 게 아닐까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직원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눈물이 납니다.” “로봇으로 세계 구한다”휴보로 세계 로봇공학 발전 기틀 마련할 것이렇게 개발한 로봇 휴보는 지금 세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버지니아텍, 카네기멜론대 등 6개 대학에서 연구용으로 휴보를 구입해 갔다. 가격은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평소 전체 예약 수요가 100명은 넘지만, 직항 승객이 평균 100명을 넘지 않을 경우다. 산업공학자들은 이런 경우에 할인 좌석의 비율을 어떻게 정해야 이익을 최대로 얻을 수 있을지 알아내기 위해 ‘비서 선발 문제’라는 수학적인 방법을 도입했다.비서 선발 문제란, 수많은 지원자가 몰려서 모두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자체는 물론이고, 모든 감정법이 물리학, 화학, 광물학을 기초로 하고 있어요. 제가 보석공학과에서 박사학위까지 받은 것도 전문성을 키우기 위해서였어요. 웬만한 논문은 손쉽게 읽을 정도로 탄탄한 배경 지식이 요구된답니다.또한 보석감정사의 무대는 전세계이기 때문에 외국어 능력은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방법도 알려 주었어요. 사람이 생각할 때 발생하는 뇌파를 쥐의 뇌에 전달하는 뇌공학을 만났습니다.네. 동물회의에 참석한 유일한 사람인 저 안몽! 앞으로도 소통 전도사로서 사람과 동물의 소통을 이어 줄 거예요. 소통을 위해 노력하다 보면 미래 우리 기술도 더 발전할 거라고요. 그리고 ... ...
-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퇴치하는 전자기계 시스템을 발명한 공로로 미국의 발명가 고(故) 구스타노 피조가 안전공학상을 받았다. 비행기 납치범을 특수장치로 보쌈한 다음 비행기 밖으로 내동댕이치면 경찰이 전파신호를 받고 기다리다가 무사히 범인을 받아서 안전하게 경찰서로 이송하는 시스템이다. 피조는 2006년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리화 난자 동결법도 사실 전자공학 연구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도움을 받았던 것. 자신이 하는 연구분야에만 몰입해서는 창의적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는다. 융합하는 것이 시너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말이다.실제로 정 교수가 연구 인프라가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