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않는 자기장을 이용하면, 뜨거운 플라스마 불새를 가둘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또 있다. 100m 선을 그려서 그 위로 아이들이 달리게 하는 데는 성공했는데, 트랙이 너무 짧다. 효과가 잠깐에 불과한 것이다. 1000m 트랙을 만들어 봤자 소용이 없다. 어차피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플라스마는 금세 뚫고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생각했다.“선생님 그건 잘못 생각하시는 겁니다. 조현병은 아드님의 잘못이 아닙니다. 100명 중 한 명 꼴로 반드시 생기는 질병일 뿐입니다. 아드님이 당뇨나 암에 걸렸어도 이러셨겠습니까?” 갑자기 노신사가 신경질적으로 귓속을 수건으로 닦기 시작했다. 순간 그녀가 말해준 시아버지의 습관이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총상금 100억 원을 차지하기 위해 리얼리티쇼 ‘라이어 게임’에 참가한 사람들. 평소 생활고에 시달린 이들은 거액의 상금을 차지하기 위해 거짓말은 물론 배신도 서슴없이 한다. 과연 누구를 믿고 믿지 말아야 할까? 거액의 돈 앞에서 흔들리는 인간 심리를 수학으로 파헤쳐 본다.라이어게임의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함께 28GHz의 초고대역 밀리미터 주파수를 사용한다. 그래서 4G LTE-A보다 1000배 빠른 최대 100Gbps 속도가 가능하다. 연결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매우 짧아서 사물인터넷 활용이 활발해 질 수 있다. 사물인터넷이란 사물끼리 인터넷으로 연결돼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을 말한다. 예를 들면 스케줄러에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바깥 행성까지 관찰할 수 있는 망원경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만 100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과학자들은 오리가미 전문가인 로버트 랭 박사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랭 박사는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연구진은 이를 바코드로 이용했다.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일주일에 이틀씩, 매회 100~600마리씩 현장에서 개구리를 잡아 옆구리 사진을 찍고 위치를 기록한 뒤 풀어줬다. 일이 끝나면 연구실로 돌아가 컴퓨터에 사진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다음에 같은 개구리를 관찰하게 되면 계절에 따라 어떻게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57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건 1969년의 일이니까요. 1903년 라이트 형제의 ‘플라이어호’가 세계 최초로 ...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결과, 현재의 자북극(나침반이 북쪽을 가리키는 방향)이 78만6000년 전 남쪽에 있다가 78만6100년 전 지금의 위치로 갑자기 이동했다는 것을 밝혀냈다. 렌네 교수는 “자기역전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지구의 자기장 세기가 약해져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입자를 막지 못한다”며 “생명체가 위험에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름부터 구수한 것이 한반도에서 꽤나 오래 살아온 것 같다. 그렇지만 이들도 불과 100여 년 전에 영국에서 온 버크셔의 후손들이다. 우선 우리나라 ‘가축 돼지’의 역사부터 살펴보자.2000년 전 만주지역에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 ‘재래돼지’는 한반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면서 ... ...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960년대에 LED(발광다이오드)가 개발되면서 희망이 움텄다. LED는 이론적으로 전기에너지를 100% 빛으로 바꿀 수 있었다. 노력 끝에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녹색빛의 LED가 잇달아 1980년대까지 개발됐다. 문제는 파란색 LED였다. 파란빛은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 준위가 필요해 만들기가 매우 어려웠다.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