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중성자가 핵융합로와 부딪혀 방사성 폐기물을 만들기는 한다. 하지만 이 폐기물조차 50~
100
년이 지나면 독성이 석탄 화력발전소보다 떨어진다.무한청정에너지를 향한 꿈 - 핵융합의 3단계핵융합은 원전에 비하면 엄청나게 폐기물이 적지만,
100
% 청정한 에너지라고는 할 수는 없다. 이런 한계를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석촌호수에 전시됐던 러버덕을 떠올리면 비슷해요. 크기가 훨씬 크긴 하지요. 길이가 4
100
m니까. 하여튼 머리와 몸통 사이에 가느다란 목 부분에서 먼지와 가스가 먼저 분출됐다고요. 이건 기존 예상을 벗어난 일이었어요. 독일 막스플랑크 태양계연구소의 장-밥티스트 빈센트라는 과학자는 ... ...
고민하는 초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그 이유는 주변에 흔하게 있고 키우기가 쉽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우리는 알을 한번에
100
개 이상씩 낳고 성장 기간이 짧아요. 알에서 새끼가 태어나 어른으로 자라는 데 열흘밖에 걸리지 않거든요. 염색체수가 적고 눈의 색깔이나 다리의 모양처럼 유전적인 특징이 뚜렷한 것, 돌연변이가 자주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1초에 11.2km 이상으로 꾸준히 날아가야 지구를 탈출할 수 있다는 소리다. 지름이 지구의
100
배인 태양의 탈출 속도는 초속 약 618km이다. 탈출 속도는 보통 천체가 크고 무거울수록 커진다. 그렇다면 1초에 약 30만km를 가는 빛은 어디서나 중력을 이기고 탈출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빛조차 탈출하지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안에는 물이 가둬져 있다. 이 때 가스레인지(외부 에너지 공급)를 이용해 물 온도를
100
℃까지 올린 뒤 가스레인지를 꺼 보자. 물의 온도가 떨어지는 시간은 주전자의 보온 성능과 관련이 있다. 물이 식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주전자가 보온 성능이 좋은 주전자다.이 원리를 핵융합 장치에도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있어요. 핵융합의 성공을 위해 아주 중요한 분야지요. 우리 연구 성과에 대한 신뢰도도
100
%로 높여야지요. 이를 위해 앞으로 해외 석학도 모셔오고, 연구 환경도 개방형 시스템으로 바꿀 계획입니다.” 김 소장은 고등학교 때부터 지금까지 핵융합 한 길만 걸어왔다. 화학공학 박사였던 김 소장의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 원형 궤도 특징 태양에 접근하면 핵에서 가스가 분출하며 최대
100
만km에 이르는 긴 꼬리가 생김 단단한 고체 표면을 가졌고 대기가 없음 소행성 하나는 5000조 원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사실 NASA의 다목적 포석이다. 가장 큰 목적이야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일이지만, 그것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생물군집’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에 사는 미생물은
100
조 개 이상으로, 음식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강화해 질병을 예방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연구진은 21쌍을 대상으로 구간 내 미생물 분포를 조사한 뒤 실제 키스 실험을 했다. 한 사람에게 유산균 음료를 ... ...
일반상대론
100
주년 독자설문조사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발견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015 일반상대성이론
100
주년 기념 독자설문조사에 참여해주세요.투표결과는 2015년 1월호 ‘일반상대성이론’ 특집기사에서 공개합니다.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21세기 논리학 컴퓨팅적 사고를 키운다Q 컴퓨터 공학은 어떤 학문인가요?A
100
년 전 사람들은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컴퓨팅적 사고란 우리가 풀기 어려운 아주 복잡한 문제를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 형태로 ... ...
이전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