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구 날짜로 2031년 9월 15일. 화성에 도착한 지 8개월이 지났다. 나는 지금 위대하고 기나긴 일의 첫 발을 내딛고 있다. 나에겐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발걸음이 될 어떤 일을. 우리 세대에는 결코 이룰 수 없고, 수백 수천 년이 걸려도 이루지 못할 도전. 바로 ‘테라포밍(terra-forming)’ ... ...
- 에볼라 쇼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세계보건기구(WHO)가 8월 8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다.1976년 처음 에볼라가 발견된 이래 이토록 많은 사람이 감염된 사례는 처음이다.WHO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건 2009년 신종플루 사태와 지난 5월 소아마비의 재발 이후 세 번째다.그동안 풍토병(Endemic)에 그 ... ...
- PART1.전염의 시작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에볼라가 서아프리카를 강타하고 있다. 올해 봄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 리아, 시에라리온으로 에볼라가 전염된 뒤, 최근 교통의 중심지 나이지 리아에서까지 환자가 발생했다. 8월 21일 현재까지 에볼라에 감염된 사람은 2473명, 사망자는 1350명이다. 이번 에볼라의 치사율은 54.6%로, 이전의 다 른 에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0에볼라는 과거 수천만 명을 죽였다는 스페인독감처럼 대유행 전염병(팬데믹)으로 발전할까? 그러기 위해서는 공기로 전염돼야 한다. 영화 아웃브레이크(1995)는 이런 최악의 공포를 현실로 보여준다. 출혈열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공기전염으로 변하는 순간, 사람들은 걸어 다니는 생화학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년 09호
- ▲ 독도 혹돔굴에서 명정구 소장이 잠수해 사진을 찍는 모습. 명 소장이 1997년 혹돔굴에 처음 갔을 때 네 마리의 혹돔이 발견됐는데 10여년 뒤인 2008년 다시 이곳에 왔을 때 한 마리가 여전히 살고 있었다.그대, 독도 바닷속을 본 적이 있는가. 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독도 바다의 수중 생태지도 5 ... ...
- 나의 에디슨은 그렇지 않아!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얼마 전, 한 독자께 이메일을 받았습니다. 지난 7월호에 나갔던 ‘귀신 여러분~ 찍습니다~ 김치!’에 대해서 의견을 써 주셨더군요. 귀신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비물질적인 존재라 검출기를 만들 수도 없습니다”라고 썼는데, 여기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셨습니다. 그래서 그 반론에 대해 다시 반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컴퓨터란 무엇일까? 컴퓨터로 무얼 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는 있어도,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컴퓨터는 말 그대로 ‘컴퓨트(compute) 하는 것’이다. 계산기란 말이다. 여기에 동의 못할 사람도 있을 거다. 컴퓨터로 동영상을 볼 수 있고, 음악도 들을 수 있고, 게임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지난 8월 11일부터 17일까지 몽골 남동부 고비사막에서 이뤄진 공룡 발굴 현장에 동행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과 일본 홋카이도대, 몽골학술원 등이 주축이 된 한일몽골 국제공룡탐사 프로젝트의 일부였다. 공룡뼈라고는 평생 얇은 뼛조각 한 번 발견해본 적 없었지만, 연구자들과 함께 ...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플랑크, 보어, 하이젠베르크, 슈뢰딩거 그리고 파울리까지. 양자역학의 기초를 세운 물리학의 영웅들입니다. 하지만 이들도 처음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매번 의문에 휩싸였습니다. 양자 현상이 일상생활 속에서 전혀 보이지 않을 뿐더러 기존 상식으로는 상상하기조차 힘들었기 때문이지 ...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이공계 진로의 마지막 관문이라는 ‘수학’. 수학만 극복하면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든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은 생각마저 든다. 더구나 이공계의 어느 학과를 선택하든 수학은 전공필수 과목이다. 기자가 다니던 대학교도 예외는 아니었는데, 영문으로 된 수학 교재를 끙끙거리며 붙들고 있다가 ... ...
이전2472482492502512522532542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