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고, 여러 경로 중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속에 있는 지도와 GPS, 그리고 내비게이션 ... ...
- [hot science] 카톡 정말 믿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검찰은 지난 9월 18일 온라인상의 유언비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버 명예훼손 전담 수사팀을 발족했다. 그러자 검찰이 카카오톡을 비롯한 국내 메신저를 실시간으로 감시한다는 루머가 퍼졌다. 검찰은 실시간 감시는 없었다고 발표했다. 대신 영장을 발부받아 집회 참가자들의 카카오톡 ID와 ...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지난 9월 24일 오전 7시 41분(현지 시각) 인도 남부 방갈로르에 있는 인도우주개발기구(ISRO) 지휘센터에는 긴장감이 흘렀다. 조금 전 인도 최초의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이 화성 궤도로 진입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마침내 무사히 궤도에 진입했다는 신호가 도착했다. 인도가 아시아 최초이자 ‘화 ... ...
- [life & tech] “이제 발가락 안 자를 거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아래 문제가 황당해 보이는가. 진짜 황당한 건 5가지 방법 모두 실제 쓰인다는 사실. 동물을 야생에서 한 마리씩 구분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작년 여름 돌고래 제돌이가 제주도 앞바다로 돌아갈 때도 그랬다. 사람들은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해 제돌이 등지느러미에 숫자를 새겨넣어야 한다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질병과 약의 비밀, 단백질로 푼다“10년 내에 인간의 질병과 약에 대한 커다란 수수께끼를 풀어낼 것입니다.”현장에서 만난 윌리엄 행콕 HUPO 부회장(미국 노스이스턴대 교수)은 “2022년 9월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완료되면 인간의 모든 단백질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질병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팀장님, 이번 사건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까? 폭탄이 두 번이나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곳에서 터졌는데 사망자 수와 부상자 수가 매우 적습니다. 그에 반해 두 번째 사건이 일어날 때까지 어떤 증거도 남기지 않을 만큼 계획이 치밀하고요. 혹시 폭탄 테러는 위장이 아닐까요?자동차 해킹도 가능해미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슬람 하면 어떤 게 떠오르나요? 중동 국가? 차도르를 쓴 여인? 혹은 무장 세력까지? 이슬람이라고 하면 멀게만 느껴지는 친구들 많을 거예요. 그런데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에서 수학의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나요? 게다가 중동 국가까지 가지 않더라도 우리나라에서 그리 멀리 떨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님. 죄송합니다. 제가 마지막 질문을 잊어버렸네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이럴 때를 대비해 메모를 해놨거든요. 금방 찾을 거예요. 음…, 그런데 못 찾겠네요. 죄송합니다. 그러니까, 음….”인류의 지능지수가 정말 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와 전화 인터뷰를 하던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광주역에서 택시를 타고 북서쪽으로 20여 분 달리면 GIST(광주과기원)와 각종 연구기관이 들어선 첨단과학산업단지에 갈 수 있다. 그곳엔 햇빛을 반사해 번쩍거리며 존재감을 발하는, 거대한 우주선 모양의 은빛 건물이 있다. 바로 지난해 11월 15일 공식 개관한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Lucerium)’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Q 에너지자원공학은 어떤 분야로 이뤄져 있나요?A 크게 탐사, 개발, 처리의 세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탐사는 땅 아래 있는 자원을 찾는 일입니다. 충격파의 속도나 전기저항이 변하는 정도를 보면 지하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알 수 있죠. 다음은 개발입니다. 석유나 가스 같은 유체자원인지 석탄 ... ...
이전2432442452462472482492502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