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런데 인터뷰가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좋은 소식이 들렸다. 김 선생님이 2015 서울국제도서전에서 작품을 전시하게 된 것이다. 비록 작은 공간이지만 김 선생님은 대중에게 작품을 선보이고 생각을 나눌 수 있게 됐다. 꾸준한 노력이 담긴 작품은 분명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이다.시간에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생소한 시대였다. 컴퓨터와 생물을 접목해 연구를 하는 학자도 없었다. 결국 그는 서울대를 중퇴하고 영국 유학길에 올랐다. 그리고 그곳에서 평생의 동반자가 될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을 만났다.빅데이터로 자살위험군 찾을 수 있다30년이 지난 오늘날 생물정보학이 한국에서도 특별하거나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2]과학동아 l2015년 07호
- 015년 7월 2일, 그 남자의 사정(서울 신촌 00포차 소년과 선배가 마주앉아 술을 마시고 있다.) “야, 무슨 말이라도 좀 해봐. 이 시간에 불러냈으면 무슨 이유가 있을 거 아냐. 그렇게 술만 퍼 마시면 나더러 어쩌라고? 여자친구가 바람이라도 났냐?” (소년, 갑자기 눈빛을 희번덕거리며 어금니를 꽉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끝났다. 다음에는 이 여정에서 만난 하늘의 이야기를 해보겠다.김병수_kimbssss@hotmail.com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피부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다. 진료시간 이외에는 행성 지구와 우주의 신비를 탐구하는데 매진하고 있다.김지현_voyages@hanmail.net과학동아 별학교장. 우주과학작가로 활동하며 ‘별헤는 밤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점치고 있다. 두 번의 암흑기를 겪은 과학자들의 입장은 다소 조심스럽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사람이 인공지능에 비해 잘하는 게 없는 것 같지만, 사실 사람은 못하는 게 없다”며 “지금도 이런 특성을 기계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감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상완 세종대 공간정보공학과 교수는 5월 14일 서울대에서 열린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심포지엄’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첨단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위성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지상으로 쏴 반사되는 시간을 분석해 지표면의 높이를 계산한다.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Q 재료공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대학에 진학할 때 아버지 지인이 공학 분야에 계셨는데, 그 분으로부터 재료공학을 공부하라는 추천을 받았어요. 사실 당시엔 재료공학보다 다른 전공들이 더 주목을 많이 받던 시기였어요. 그런데도 재료공학을 추천하신 건 아마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생각하셨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2020년 달을 탐사할 ‘로버(Rover)’의 시제품을 만들어 처음으로 공개했어요. 많은 과학자들과 기자들의 관심이 로버에 집중됐지요. 5년 뒤 달을 직접 탐사할 로버는 어떤 모습일까요? 어떤 기술을 갖고 있을까요? 호기심 가득한 박민주, 정현석 친구와 함께 로버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어떤 영향을 미쳤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파악하기엔 한참 부족한 시간이죠.”백석윤 서울교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학교가 수학교육의 중심이 돼야 한다고 지적한다.“그동안 수학교육은 입시제도나 교육현장 밖의 입장에 따라 변해왔습니다. 앞으로는 학교가 중심이 돼서 수학교육이 제자리를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SW로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부 수업에서 계산화학 SW를 활용하고 있는 신석민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학생들은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직접 계산해 얻은 결과가 SW로 시각화된 것을 보면서 흥미를 느끼고, 이론으로만 배울 때보다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한다”며, “계산화학 SW로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