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안녕? 난 인류 최초의 요리사라 불리는 호모 에렉투스야. 하늘에서 이 하얀 것이 떨어져 머리에 써 봤는데 갑자기 이곳으로 오게 됐어. 근데 저 사람은 뭐 하는 거지? 게다가 킁킁~, 이 맛있는 냄새! 저 사람이 만든 건가? 어디, 맛 좀 보자. 쩝쩝! 헉, 어떻게 이런 맛이 나지? 나도 요리라면 자신 있는데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작고 왜소한 다윗이 덩치 큰 골리앗을 쓰러뜨렸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비결은 지혜로움과 민첩함이었죠. 기존의 비행기가 골리앗이라면, 드론은 다윗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몸집은 손바닥 위에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작지만, 지능이 뛰어난 드론은 웬만한 비행기로는 할 수 없는 다양한 임무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드론의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드론이라고 하면 프로펠러 4개가 달린 모양의 ‘쿼드콥터’를 떠올리기 쉽습니다. 드론 중에서도 쿼드콥터가 유독 인기를 끄는 이유는 프로펠러 4개만 조절해 제자리 돌기, 한쪽으로 기울이기, 뒤집기 등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죠. 모두 수많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줘요. 그래서 똑같은 원리의 게임이라도 스토리에 따라 전혀 다른 게임이 될 수 있지요.서울 명덕초 5학년인 전민서 학생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배경으로 스토리를 만들었어요. 색깔이 같은 캐릭터 3개를 없애는 데서 아이디어를 얻어, 버럭이, 슬픔이, 까칠이, 기쁨이, 소심이라는 감정 컬러몬스터를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밝혀 푸앵카레 추측이 맞다는 것을 증명했다.그렇다면 특이점은 왜 생기는 걸까. 이기암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는 “편미분방정식의 해는 자연현상을 단순화한 모델에 불과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어떤 물체의 운동을 확대하면서 분석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계속 키우다 보면 어느 ...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1mm 미세혈관 재건이 관건그러나 이 계획에 대해 전문가들의 시선은 싸늘하다. 백선하 서울대 신경외과 교수는 “말할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다. “현재의 의학 기술은 샴쌍둥이를 겨우 분리하는 수준입니다. 몇몇 동물의 머리 이식 사례는 그냥 갖다 붙인 수준일 뿐, 며칠 살아 남지 못했죠.”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신할 기계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민지: 안녕하세요. 기계항공공학부 2학년에 재학 중인 이민지입니다. 저는 기계 쪽 수업을 많이 들어서인지 항공 분야에서는 어떤 공부를 하는지 궁금했어요. 저희 학부가 어떤 공부를 하는지 소개 부탁 드립니다.김현진: 학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계항공공학부는 크게 기계를 다루는 기계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표시하던 것에서 유래했다.‘시각’에서도 기준이 되는 것이 있다. 만약 기준이 없다면, 서울과 독도에서 태양이 뜨는 시각이 다른 것처럼 지방에 따라 시각이 다를 수 있다. 우리가 태양을 기준으로 시각을 정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나라마다 기준이 되는 시각을 ‘표준시’로 정해 놓고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볼래, 멋있다!” 곳곳에서 흥분된 감탄사가 터져 나왔다. 어둠이 짙게 깔린 8월 18일 저녁, 서울 풍문여고 옥상은 평소와 달리 시끌벅적했다. 14명 남짓 되는 천체관측반 학생들이 외계행성을 가진 특별한 별을 찾기 위해 모였기 때문이다. 준비물은 소형망원경과 DSLR, 망원렌즈와 적도의. 학생들은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쉽게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기획됐다. 2005년 첫 개최 이후 점점 규모가 커져 2010년부터는 서울 한양대와 중앙대, 대전 KAIST, 광주 GIST, 부산대등 4개 지역 5개 대학에서 열리고 있다.특히 올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설립 30주년을 맞은 데다, 에볼라바이러스와 메르스 때문에 생명공학에 대한 관심이 ... ...
이전2422432442452462472482492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