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스페셜
"
녹색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쉽게 붙을 수 있도록 형태를 변형했다. 이번 표지는 이 과정의 한 순간을 표현했다.
녹색
과 옥색 두 가닥으로 표현된 것은 DNA다. 전사가 필요한 위치에 TFIIIB 인자(붉은색)가 먼저 붙고 그 뒤를 RNA 복제효소 Ⅲ(파란색)이 붙어 필요한 RNA를 전사하는 모습이다. 한편 이들이 연구에 이용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
2017.12.12
의 변이 추세로 1980년대 이후 정체돼 있다. 위는 여성, 아래는 남성으로 파란색은 800m,
녹색
은 높이뛰기, 주황색은 포환던지기다. - 생리학의 경계 제공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100m 9초58 기록을 세운) 우사인 볼트는 최대 달리기 속도를 낼 수 있는 극단적으로 드문 표현형을 지닌 예외”라고 쓰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
2017.12.06
유전자들도 넣어줄 수 있지만 나중 일이다). 증식한 대장균에 자외선을 비추자 역시 밝은
녹색
형광으로 빛났고 형광단백질을 분석해 피롤라이신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 DNA에 새로운 염기쌍을 집어넣어 전사시키는데 성공했다는 사실 만으로도 획기적인 사건이지만 이는 다양한 비정규 아미노산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양은 똑 같고 여기에
녹색
빛과 빨간빛이 더해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반면 파란빛에
녹색
빛과 빨간빛이 더해져 흰(무색)빛이 되면 파란빛이 그대로 있음에도 파란색의 심리적 효과는 사라진다. 멜라놉신은 쥐나 사람 같은 포유류뿐 아니라 개구리 같은 양서류에도 존재하는 빛수용체다. 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지날수록 세슘137에 상대적인 비율이 떨어진다.) 사고 초기 원전 인근 해수의 방사능(
녹색
네모)이 엄청나게 높았음을 알 수 있다(세로축은 로그 척도다). 해수의 경우 입방미터 당 베크렐이다. 흥미롭게도 사고 초기 부어류, 즉 해수면 가까이에 사는 고등어나 참치 같은 물고기에서 역시 엄청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성운의 2016년 중심은 파란 십자 마크, 1437년 추정 중심은
녹색
십자 마크다. 빨간 십자와
녹색
십자 마크가 거의 겹쳐 격변변광성의 1437년 신성 폭발이 성운의 근원임을 보여주고 있다. - 네이처 제공 ● 500년 사이 신성 유형 바뀌어 한편 신성도 폭발 양상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세분된다. 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세 그룹으로 나뉘고 그 중 하나에서 유전자수평이동으로 광합성 관련 유전자가 들어와(
녹색
화살표)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고 나중에 산소발생 광합성을 진화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산소호흡은 세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유전자수평이동(빨간 화살표)을 통해 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보면 경계면에서 콜라겐섬유가 갈라져 있다. 왼쪽 아래는 공초점현미경 사진이다.
녹색
네모를 확대한 오른쪽 위 사진은 경계면 너머 힘줄의 콜라겐섬유로 굵다. 왼쪽 아래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 네이처 재료 제공 돼지 아킬레스건의 힘줄뼈부착부위를 자세히 들여다본 결과 뼈와 닿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만들어진다. 형광단백질이 붙은 알파-헤몰리신 단백질이 만들어진 경우로 세포막이 밝은
녹색
이다. 위는 인공세포 두 개가 붙어 있는 상태이고 아래는 여러개가 거품처럼 붙어있는 상태다. - PNAS 제공 ● 호의적인 장내미생물 환경 조성에 쓰일 수도 연구자들은 인공세포의 게놈에 박테리아가 내놓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GFP를 만드는 연구에 착수했고 1995년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 뒤 수년에 걸쳐
녹색
뿐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빛을 내는 변이 형광단백질을 줄줄이 만들어냈다. 그 결과 세포 내에서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단백질 각각에 다른 색을 내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