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 두께에 따라 물 흡수성 달라진다
연합뉴스
l
2021.04.12
이용해 계면에서 물 분자의 진동을 관측했다. 그 결과 기판의 습윤성이 그래핀을
투과
하는 성질은 그래핀 층이 쌓일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층 이상의 그래핀에서는 소수성(疎水性·물을 배척하는 성질) 계면에서만 관측되는 수소 결합을 하지 않는 물 분자들이 관찰됐다. ... ...
이차원 반도체 물질 형성될 때 일차원 구조 거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바뀐 분자들이 한층 한층 쌓여 층상 구조가 된다. 연구팀은 고분해능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산화몰리브덴을 이황화몰리브덴으로 만드는 과정을 관찰했다. 그 결과 이황화몰리브덴 분자가 층을 형성하기 전 여러 줄로 질서정연하게 늘어서는 현상을 관찰했다. 연구팀은 각 줄의 단면이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체내 삽입 가능한 봉합사형 변형 센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실렸다. ■ 양용수 KAIST 물리학과 교수팀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주사
투과
전자현미경(STEM) 기반 원자분해능 전자토모그래피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백금 나노입자 표면과 내부 3차원 원자구조를 수소 원자 반지름의 3분의 1 정도인 15피코미터(pm, 1조분의 1m) 정밀도로 보는 데 성공했다. ... ...
[영상+]달리는 차량에 내려앉는 드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탐지하는 회전 카메라를 드론에 달아 마커를 인식하고 착륙 지점을 찾는다. 적외선은
투과
율이 높아 나뭇잎이나 비닐 등 이물질에 가려도 감지가 가능하다.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방열판과 쿨링팬을 활용해 LED 소자를 많이 썼을 때 발생하는 열도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했다. 착륙용 판을 단 이동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전달 시스템을 결합해 약물 방출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며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투과
도가 높은 근적외선을 사용한 만큼 향후 광 치료 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3월 1일자에 실렸다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사용] 글리제 486 b의 기온은 별빛이 대기를 통과할 때 빛이 산란하는 것을 분석하는
투과
분광법이나 행성이 별 뒤로 돌아갈 때 표면에 닿는 별빛을 분석하는 방출 분광법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글리제 486 b의 행성 환경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은 아니지만, 암석형 행성의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704nm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소재를 개발했다. 근적외선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투과
율이 높고 내열성과 내광성도 높다. 지난해 12월 한국섬유개발원(KTDI)에서 내광성을 테스트한 결과 20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돼도 변질되지 않아 1~5등급 중 4등급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등급이 ... ...
[한 토막 과학상식]빛이 경계면 따라 흐르는 광스핀홀 효과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설계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 1mm 이하 파장을 가진 마이크로파와 같은 고주파 영역에서
투과
된 빛의 편광을 분석한 결과 효율이 100%에 가까운 광스핀홀 효과가 일어나는 것을 검증했다. 노 교수는 “광스핀홀 효과를 증가시키는 기존 연구는 증가시키는 원리가 효율을 낮게 하는 경우가 ... ...
빨강·초록·파랑 가시광선 조절하는 투명 실리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원하는 방향으로 회절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실험 결과 가시광선에서 파장대에 따라
투과
효율이 최대 75%로 나타났다. 4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서는 42%였지만, 532nm 대역에서는 62%로 증가했고, 635nm에서는 75%를 보였다. 가시광선은 대개 380~790nm 파장인 빛을 말한다. 연구팀은 이를 ... ...
"태양광으로 전기 생산" 차세대 투명 태양전지 개발
연합뉴스
l
2021.02.04
광 흡수층의 두께도 기존 2㎛(마이크로미터·1천분의 1㎜)에서 0.3㎛ 이하로 줄여 가시광
투과
율을 높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얇은 광 흡수층과 양면 투명전극 이용으로 자연스럽게 투광성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 기술보다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 시간도 줄일 수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