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가
통과
패스
가결
철조
뉴스
"
투과
"(으)로 총 56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초지원연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해 세계적 분석기관으로 도약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평가다. 한철수 연구개발장비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시료를 원자수준으로 볼 수 있는
투과
전자현미경(TEM) 중 저전압 보급형 TEM 국산화를 목표로 해 국내 처음으로 30kV급 TEM 개발에 성공했다. 2025년까지 고성능 TEM 개발을 위해 구면수차보정 기술이 적용된 60kV급 TEM 개발을 진행한다. 최명철 ... ...
'람다 변이' 백신 소용 없고 치명률도 높다는데…과학자들 "근거 못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지난해 12월 남미 페루에서 처음 보고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람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전파력이 변이 바이러스보다 높고 코로나19 백신을 ... ...
국내 연구팀,렘데시비르보다 200배 효과 좋은 코로나 치료제 후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국내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보다 바이러스를 죽이는 능력이 200배 높은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KAIST는 8일 이상엽 ... ...
연구실 창문, 그냥 유리 아니라 태양전지로 만든 ‘스마트 윈도’였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투과
도는 41.45%로 세계 최고(world record)를 기록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기존에는 효율 4%,
투과
도는 10% 수준인데 이를 동시에 대폭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상용화를 염두에 두고 대면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모듈로 만드는 기술도 개발했다. 모듈의 크기는 40cm²다. 여기에 전기변색 ... ...
코로나19 델타 변이 국내서도 비중 커지고 있다…"신규 확진자 100명 중 7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7.06
투과
전자현미경(TEM)으로 촬영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모습. 표면에 있는 돌기 모양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변이가 생기면 감염력이 높아지거나 항체에 대한 면역 회피 능력이 생길 수 있다.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제공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100명 중 7명이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혈뇌장벽은 외부 세포나 단백질 등이 함부로 뇌 조직에 들어오지 못하게 고도의 '선택적
투과
'만 허용한다. [미국 워싱턴의대 Sara Moser / 재판매 및 DB 금지] 뷔스-코라이 교수팀은 뇌 밖의 혈액 매개 인자(bloodborne factor)가 혈뇌장벽을 통해 뇌 조직에 염증 신호를 보내면 실제로 염증 반응이 ... ...
[과기원은 지금] 장진아 포스텍 교수, '메디포스트 신진과학자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23
사이클로스포린 O를 관찰해 기름과 물속에서 다른 구조를 갖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이
투과
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의약화학 저널’에 7일 실렸다 ... ...
우주정거장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된 쥐 정자서 정상 새끼 태어나
연합뉴스
l
2021.06.14
보호막 역할을 하지 못하는 심우주 공간은 우주 방사선에 노출돼 있고 현재 기술로는
투과
성이 강한 우주방사선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우주선이 개발돼 있지 않다. 연구팀은 쥐의 냉동건조 정자 앰플을 9개월, 2년, 6년 등으로 나눠 지구로 다시 가져와 수화(水化)시켜 수정했다. 그 결과 16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기본적으로
투과
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투과
전자현미경은 고전압의 전자빔을 물질에
투과
시켜 내부 구조를 수십만 배 이상 확대해 관찰할 수 있는 첨단 장비다.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의 분해능을 가지고 있어 원자 수준에서 정교하게 관측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의 하나인 ... ...
방사능 견디는 복합소재 센서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02
우라늄, 토륨, 폴로늄 등 방사선이 나오는 원소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방사선은
투과
력이 높아 전자장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인체에 노출되면 생체조직에 해를 끼치는 피폭이 일어난다. 때문에 원전 장비는 반도체 소재로 센서를 만든 뒤 방사선이 뚫지 못하는 납으로 차폐해 보호한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