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장벽
벽
방해물
담장
담
방해
뉴스
"
장애물
"(으)로 총 4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공대 연구실로 간 아티스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2.15
대회라 연구실의 모든 사람들이 교대하며 거의 24시간 동안 작업했다. 초기에는 지형과
장애물
에 따라 바퀴와 몸체를 부풀리고 줄일 수 있는 로봇 자동차를 만들기로 했고 비슷한 특징을 지닌 천산갑을 닮은 디자인으로 제작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하지만 개발 과정에서 동료 연구원들이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실은 국가가 없다”고 설명했다. 환경탑재체를 정지궤도위성에 싣는데 가장 큰
장애물
은 지구까지의 거리다. 탑재체는 지구가 반사한 빛을 관측하는데, 지구와의 거리가 멀수록 그 빛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기 때문이다.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DB 가령 상공 600km에 있는 저궤도위성에 비해 상공 ... ...
산속 조난자 구조하는 '드론 들것' 만든다면 이런 모양
동아사이언스
l
2020.02.11
고려한 양산 설계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첨단 센서나 원격제어,
장애물
인식 같은 복잡한 기술이 아닌 접근하기 쉬운 보편적 기술을 적용해 디자인을 진행한 덕분에 합리적인 가격에 제작 및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저개발국가와 제3세계에도 널리 활용돼 ... ...
'신종 코로나 얼마나 심각할까' NYT가 정리한 6가지 궁금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후보를 연구 중이다. 앤서니 포시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장은 “예상치 못한
장애물
에 부딪치지만 않으면 향후 3 개월 이내에 1단계 시험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백신의 안정성과 유효성 입증을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선 1단계 시험 후 몇 달 혹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 ...
달 뒷면 착륙1년 맞은 '옥토끼'…"지금도 탐사中"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옥토끼 2호에는 바퀴가 6개 달려있다. 최고 시간당 200m를 움직이며 20cm 정도 높이의
장애물
을 넘는다. 지난해 11월 기준 옥토끼 2호는 357.7m정도 이동했다고 알려졌다. 짧은 거리라 여길 수 있지만 달의 낮과 밤 길이와 달 뒷면의 험난한 지형을 고려한다면 그렇지도 않다. 달의 낮과 밤 길이는 각각 ... ...
세계 최대 갈탄 소비국 독일도 결심했다 "2038년 갈탄 화력발전 OUT"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유럽 제1의 경제대국 독일이 역사적인 에너지 전환을 달성하는 데 남아 있던 마지막
장애물
을 걷어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결정은 녹색당부터 우파인 독일대안정당(AfD)까지 정치적 입장이 다양해져서 메르켈 총리가 속한 기독민주당 등 기존 정당을 압박하고 있는 독일 정치 ... ...
식물 뿌리가
장애물
회피하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제공할 수 있는 발견”이라며 “식물의 물리 자극은 덩굴성 식물의 행동, 뿌리의
장애물
회피, 해충피해 저감 등과 관계가 깊어 원리를 밝힌다면 다양한 농업 형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의 환경 적응 원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 ...
벽안의 과학자와 외국 과학기자가 한국 과학계에 추천하는 '대중과의 소통법'
동아사이언스
l
2019.12.07
연락해야 한다”며 “언어는 장벽이지만 다루는 과학 주제가 흥미롭다면 가장 큰
장애물
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재스트로 기자는 “인터뷰에서 컴퓨터 코드가 제대로 동작했을 때, 실험이 성공했을 때의 순간에 대해 들어야 맥락을 짚을수 있어 주로 석사나 박사 대학원생을 찾는다”며 ... ...
미래車 방향은 '지능형'과 '친환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교통 상황이 지금과 같이 복잡한 경우 무엇이
장애물
인지 혹은 차량인지를 분류할 수 없어 전통적인 제어 이론을 활용할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AI가 안전성을 보장할 만큼 기술이 고도화되지 않는 한은 물리 센서와 같은 기존의 전통지식을 ... ...
시각장애인도 갸우뚱? 표준 없어 읽지 못하는 '제멋대로 점자'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정의해 규격을 지키도록 하고 있다. 미국은 법을 기반으로 '미국장애인법과 건축상
장애물
관련 접근성을 위한 가이드라인(ADA & ABA)'에서 점의 높이와 지름, 점과 점 사이 간격, 글자 간 간격, 줄과 줄 간격을 모두 규정해 점자의 해독력을 보장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국가에서 정한 점자 표준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