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도서 발견된 이중·삼중 변이 바이러스…"파괴적이지 않을수도, 하지만 지켜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5.03
'E484Q'와 'L452R'라는 두 가지 변이가 한꺼번에 나타났다. 이 때문에 다른 변이 바이러스와
구별
해 '이중' 변이 바이러스라고 부르른다. 그런데 이달 초 발견된 삼중 변이 바이러스는 이중 변이 바이러스를 모태로 하면서 한 번의 변이를 더 거친 경우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382번째 아미노산인 발린(V)이 ... ...
[랩큐멘터리]암도 진단하고 유해가스도 탐지하는 새로운 코를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2
1000배 이상 후각이 민감하다. 개 코에 있는 후각세포의 수가 많고 후각세포에서 냄새를
구별
하는 이온 채널의 숫자도 훨씬 많기 때문이다. 개 코를 모방한 ‘인공 코’를 만들어 폭발물을 탐지하고, 암을 진단하며, 유해 가스도 감지할 수 있을까. 극한구조역학연구실은 말랑한 고분자 소재를 이용해 ... ...
화성의 첫 비행장 이름은 ‘라이트 형제 필드’
동아사이언스
l
2021.04.20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ICAO는 여객기와 헬기 등 항공기마다 기종별로 식별자를 부여해
구별
할 수 있게 한다. 인저뉴이티의 비행 장소인 예제로 분화구도 ‘JZRO’라는 장소 식별자를 지정받았다. 인저뉴이티는 화성시간으로 오후 12시 33분(한국시간 오후 4시 34분) 비행을 시작했다. 이 시간은 NASA의 ... ...
살아있는 면역세포 형광분자로 염색해 관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9
크기와 모양이 비슷해 구분이 힘들다. 이 때문에 항체의 도움 없이 형광 분자만으로
구별
하는 게 힘들었다. 연구팀은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 기존 바이오마커가 아닌 세포 자체의 차이를 이용해 형광 분자만으로 B세포를 식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생쥐의 비장에서 B세포와 T세포를 ... ...
얼굴사진으로 고혈압 환자 가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한의학의 망진에서 관찰하는 얼굴의 특성들을 기준으로 정량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얼굴의 부위별 색상과 형태를 추출했다. 한의학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정상인과 고혈압 환자가 얼굴색과 코 모양 등 주요 특징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얼굴의 차이점을 활용하면 얼굴 사 ... ...
[과기원은 지금] GIST 학생팀 뉴미디어 아트 공모제 ‘내일의 예술展’ 당선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를 통해 항암제 효과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별
해 낼 수 있는 유전자 발굴에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인터넷판 3월 39일자에 실렸다 ... ...
AI 이용해 캄캄한 밤에 북상하는 태풍 모습 대낮처럼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데이터를 제공해 구름과 산불, 화산재 등 다양한 기상, 지질 현상을 하나의 영상에서
구별
할 수 있게 한다. 지상에서 0.5km 떨어진 두 지점을 구분해 볼 수 있는 정밀도를 지니고 있다. 한반도 및 주변 지역만 24시간 관측하는 정지궤도 위성으로, 2분 마다 한 번씩 촬영이 가능해 태풍의 이동 등을 ... ...
한국이 양산 목표 첫 중형위성 쏘는 날 일본 첫 양산형 민간위성 4기 우주로
2021.03.20
m 크기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매일 지구를 촬영한다. 이는 차 한 대를
구별
하기에 충분한 정도다. 악셀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지구관측 서비스 '악셀글로브'의 화면이다. 악셀스페이스 제공 GRUS 1B·1C·1D·1E 위성 제작은 기능이 모두 똑같은 쌍둥이 위성을 제작하는 양산 형태로 ... ...
[화성사운드트랙] 슈퍼캠이 녹음한 화성의 바람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사진도 카메라로 촬영해 공개했다. 슈퍼캠 카메라는 7m 거리에 있는 샤프심 두께 표적도
구별
할 수 있을 정도의 고화질을 갖고 있다. 마즈 표면은 울퉁불퉁한 자국이 선명하다.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부지런함’을 뜻하는 예이고는 바위 표면이 금속이 박힌 듯 반짝거리는 것도 확인됐다. ... ...
[애니멀리포트]멸종 위기 딛고 펼친 하얀 날갯짓
과학동아
l
2021.03.13
검은색이라 언뜻 보면 두루미(학)와
구별
하기 어렵다. 실제로 옛 사람들은 굳이 두 새를
구별
하지 않고 똑같이 상서롭게 여겼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 연구원은 “고미술품 가운데에는 커다랗고 흰 새가 소나무와 같은 나무에 앉아있는 그림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라며 “두루미를 그린 것으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