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은하"(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KVN 울산전파천문대에서 밤샘 연구를 했다. 2018.11.3 예상외의 결과11월에는 은하면에 대해서만 고유운동 군집을 통해 새로운 성단을 찾는 과정을 진행했다. 그 결과 6개가 더 발견됐다. 어라, 대강 훑었는데도 예상보다 수가 많았다. 나는 즉시 성단 찾기 알고리즘을 더 정확하고 편리하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별자리도 조금씩 변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끼울 수 있어요. 이 디스크에는 태양부터 수성, 금성, 해왕성에 이르는 태양계 천체들과 은하와 성운 사진이 들어있어요. 24장의 사진 중 보고 싶은 사진이 들어있는 필름 디스크를 프로젝터에 넣고 천장에 비춰 보세요. 방 안에서 우주의 모습을 즐길 수 있답니다.아직은 쌀쌀한 저녁 날씨, 다가올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UST를 선택한 이유로 전문성을 꼽았다. 그는 “대학원에서 블랙홀과 같은 활동성 은하를 연구하기로 결정한 뒤 어느 교수에게 지도받을지 열심히 찾았다”며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가 이런 연구를 진행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지원했다”고 말했다. 2014년 당시 조 연구원은 연구에 대한 ... ...
- 질서┃우주의 태초···우리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온도가 지속적으로 떨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온도를 기준으로 입자와 원자핵, 별, 은하의 종류에 따라 시간대별로 분류한다.그럼에도 여전히 빅뱅의 바로 그 순간만큼은 현대수학으로도, 양자이론으로도 풀지 못하고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우주의 태초☞ #빅뱅 #팽창 #입자 #힘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거대구조 우리는 우주 전체를 볼 수 없다. 그 이유를 138억 년 전에 지구를 향해 출발한 빛을 따라가며 알아보자.138억 년 전 우주가 아주 작았 ... 포함하며, 총 10만 개의 은하들이 자리하고 있다. 초은하단의 존재를 통해 우리는 우주의 은하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
- 신비┃우주의 빈자리는 무엇으로 차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약한 상호작용조차 하지 않고 질량은 기존 중성미자보다 무거우며 현재 관측되는 은하의 구조나 밀도를 설명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윔프, 액시온, 비활성 중성미자. 아직 관측에 성공한 입자는 하나도 없다. 이중 과연 무엇이 암흑물질의 정체일까. 암흑물질의 종류는 한 가지일까. 지배적이지만 ... ...
- 질서┃마침내 별 등장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기본입자들이 만들어낸 합성입자들은 생성과 붕괴를 반복했다. 그중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인 양성자와 중성자를 포함한 강입자, 그리고 전자와 광자 등이 ... 거듭나게 됐다. 하지만 너무 컸던 최초의 별은 수억 년 만에 운명을 다하고 말았다. 우리은하와 태양계를 만들 씨앗들을 남기고 ... ...
- 질서┃오리온자리 팔, 태양계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최근 밝혀졌다. 태양계우리가 사는 지구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약 46억 년 전, 우리은하에서 하나의 항성이 수명을 다하고 초신성 폭발을 일으켰다. 초신성 폭발에 의한 충격파는 주위의 가스를 밀어냈고, 한 지역에 몰린 가스들은 서로의 중력에 의해 뭉치기 시작했다. 가스들이 뭉치자 회전을 ... ...
- 질서┃우주 동결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 안에는 우리은하와 이웃한 안드로메다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 정도만 남게 될 것이다. 시간이 더 흐르면 별을 만드는 재료가 점점 사라진다. 수소와 헬륨은 별이 탄생할 때 쓰였다가 별의 수명이 다하면 일부만 바깥으로 분출된다. 절반 이상은 별의 재료로 사용되지 ... ...
- 질서┃우주수축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이후 진행된 것들이 되감겨 돌아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먼저 우주 공간이 줄어들면서 은하들도 다시 가까워지고, 공간 내에 물질의 밀도가 높아지면 우주 온도가 다시 올라간다.수백만 년마다 우주의 크기가 절반으로 줄어들고 현재의 1000분의 1 크기가 되면 행성의 생명체는 점점 살기가 어려울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