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통
실린더
억울
분
통분
애상
원기둥
d라이브러리
"
원통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간 절약의 비법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예가 벌집이에요. 벌집을 보면 정육각형의 작은 방으로 빼곡히 채워져 있어요. 몸이
원통
형으로 생긴 꿀벌이 왜 정육각형 모양으로 벌집을 만드는 걸까요? 비밀은 수학에 숨겨져 있어요.먼저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요. 정육각형은 안쪽 각도가 120°여서 3개가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내수압이란 텐트나 타프에 쓰인 원단의 방수능력을 알려주는 수치예요.” 지름 10mm의
원통
을 원단 위에 세운 뒤 안쪽으로 물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물기둥의 높이를 재 내수압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가랑비에 견딜 수 있는 내수압 수치는 500mm, 폭우에 견딜 수 있는 수준은 내수압 1500mm 이상이다.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핵산을 감싸느냐를 추론한 부분. 만일 단백질 하나가 핵산을 감싸려면 속이 빈 구나
원통
형태여야 하는데, 이런 복잡한 구조를 만들려면 단백질 하나가 매우 커야 한다. 하지만 짧은 건 길이가 불과 수천 개의 염기에 불과한 바이러스 유전체가 이런 거대한 단백질의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건 ... ...
몸짱만든다는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보충제 효과를 봤다는 뜻이다. 과연 그럴까.운동 안 하고 먹으면 ‘독’근육은 길쭉한
원통
형 근육세포 여러 개가 묶여 있는 다발이다. 근육세포는 다시 가느다란 근섬유 여러 가닥으로 구성돼 있다. 운동을 하면 근육세포(근섬유)가 손상되고, 우리 몸은 혈중 아미노산을 끌어와 새로운 근섬유 ... ...
북한 2차 핵실험의 쟁점4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인 원심분리법”이라고 털어놓았다. 우라늄을 기체 화합물로 만들어 회전용기에 넣은 뒤
원통
을 1분에 5만~7만 번 회전시키면 지구 인력의 수천 배에 이르는 원심력이 발생한다. 이때 상대적으로 가벼운 우라늄235는 안쪽에, 우라늄238은 바깥쪽에 모인다. 이 과정을 무수히 반복하면 우라늄235를 95%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때문에 파란빛을 띤다. 드디어 아이스코어 시추(빙하 시추)를 시작했다. 길이 1m의
원통
형 금속관을 빙하에 박고 열심히 돌려서 얼음을 빼냈다. 아이스코어를 뽑아내면 오랜 세월 쌓인 빙하 속에서 과거 지구환경변화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실험이다. 맨 밑은 100년 전 얼음이라니! 놀라지 ... ...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탄소원자가 육각형 형태로 결합된 뒤 다시 무수히 많은 육각 구조들이 그물처럼 연결돼
원통
모양을 이룬 것이다. 이때 그물코처럼 생긴 빈 공간에서 신축성이 생겨 탄소나노튜브는 변형을 잘 견딘다.루미시스는 인쇄회로기판(PCB)을 사용해 만든 기존의 사인보드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 ...
백성을 굽어 살피는 어진 소리 편경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결정했을까. 박연은 중국에서 전해진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에 따라 대나무로 만든
원통
형 관인 ‘율관’을 12개 만들었다. 둘레가 약 2.7cm인 관에 검은 기장 낱알 1200개를 넣으면 관의 길이가 약 27cm가 되는데, 이 관을 황종 율관으로 삼았다. 이렇게 만든 황종 음의 진동수는 528Hz로 서양음계의 높은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차세대 전자소재로 평가받는 탄소나노튜브보다 더 우수한 물질이다. 그래핀을 말아서
원통
형으로 만든 구조가 탄소나노튜브이기 때문에 두 물질의 화학적 성질은 매우 비슷하다. 하지만 그래핀을 감는 방향에 따라 반도체와 도체의 특성이 달라지는 탄소나노튜브와 달리 그래핀은 금속성을 ... ...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비해 회전할 때 궤적이 더 커 회전축으로부터 회전하는 물체 표면까지의 거리가
원통
형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굵은 스터드를 신은 것처럼 회전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스터드의 높이가 낮은 축구화는 오랫동안 신어도 발의 피로가 적다. 또한 발 가운데에 놓인 가로방향 막대 스터드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