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4,28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수학동아 l201607
- 우유팩에 담긴 우유가 컵으로 떨어지면 컵 안쪽에 우유가 부딪힙니다. 우유는 점점 차오르면서 출렁이지요. 우유 방울은 시시각각 다르게 움직입니다. 영화 ‘슈렉’에서 이 장면을 수학적으로 구현하는 작업에 참여한 이화여대 수학과 민조홍 교수는 뉴턴의 운동방정식 ‘F(힘)=m(질량)×a(가속도 ... ...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수학동아 l201607
- 관계, 3차원과 2차원의 관계 등 기하 학습에 도움이 되는 쌓기나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쌓기나무 그림을 보고 쌓기나무의 수를 구할 때 학생들은 보이는 부분의 개수만 세곤 합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을 시각화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쌓기나무의 개수는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먼저 알파고는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 두면 승률이 높을 위치들을 찾아내요. 여기서 1차적으로 몇 가지 경우의 수가 나오지요. 그 다음은 각 위치에 돌을 놓을 경우 자신이 몇 %의 확률로 이길지 계산해요. 그리고 계산 결과가 높은 것들을 골라 자신과 상대가 25~30번 돌을 주고받은 후에 어떤 그림이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07
- 점점 빨라지겠지만, 빛의 속도를 넘을 수는 없다. 그리고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조차도 빛의 속도로 몇 년은 가야 하는 거리에 있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속도가 빨라질수록 우주선 안의 시간은 느리게 가므로 지구로 돌아갔을 때는 가족도 모두 늙어 죽어 있을 터였다. 클리퍼드는 뒤통수를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수 있다’는 게 핵심이다(천문학에서는 외관 때문에 가끔 속을 수 있다. 특히 하늘에 이차원적으로 투영돼 보이는 먼 거리 물체는 더 그렇다!).AGN 통합모델을 자세히 살펴보자. 폭이 넓은 방출선은 주로 강착원반 바로 위에서 달궈진 뜨거운 기체 구름에서 나온다. 폭이 좁은 방출선은 중심부 제트를 ... ...
- [News & Issue] ‘풀풀’ 여름 하수도 냄새… 문제는 정화조과학동아 l201607
- 원리와 같다. 이 시설은 토구나 하수관 시작 지점에 특히 효과가 좋다. 오수의 낙차가 생기면서 악취가 위쪽으로 상승하는 것(굴뚝효과라고 한다)을 막아주기 때문이다.또 이 방법은 전기가 필요 없다. 2~5bar 정도 되는 주변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해 물을 분사하기 때문이다. 수도관에 작은 구멍을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07
- 광역 경보 또는 주의보를 발령한 뒤, 지형과 지질 특성을 고려해서 세부 지역에 대한 2차 경보와 주의보를 내는 방식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대전 지질연 상황실에서 만난 최정해 지질환경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1시간 전에 예보하는 이유는 가장 예측 확률이 높으면서도 충분히 대피할 수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06
- 예정이었는데, 어떻게 해야 오줌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지가 문제였죠. 고심하던 차에, 물고기 순환계의 단순함에 주목하게 됐습니다.”사람이 혈관계와 림프계 등 두 개의 순환계를 가진 것과 달리, 물고기는 단 하나의 순환계를 이용해 신체 곳곳에 혈액을 공급한다. 오줌을 빠르게 순환시킬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06
- 이슈가 됐다. 골절은 선명했지만 이 골절이 어떻게 발생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조차 의견이 엇갈렸다. 우리나라에도 시체농장과 같은 시설이 만들어져 체계적인 연구를 했다면 두개골 하나가 그렇게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진 않았을 거라 생각한다. 뼈는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사건 당시의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06
-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