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왼쪽과 오른쪽을 향해 있다. 이와 같은 머리는 언뜻 괴상해 보이지만 먹이를 찾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왼쪽 콧구멍과 오른쪽 콧구멍이 맡는 냄새의 세기 차이로 먹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눈이 멀리 떨어진 덕에 시야도 넓다.또 상어는 머리에 금속탐지기와 같은 감각기관인 ‘로렌치니병’이 ... ...
- [가상인터뷰] 바다뱀도 바닷물을 못 마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교수팀은 우리가 어디서 마실 물을 얻는지에 대해 연구했는데, 그 결과 바다뱀들은 큰 비가 내릴 때 바다 표면에 만들어지는 렌즈 모양 물 덩어리에서 민물을 얻는다는 사실을 알아냈지. 또, 우기가 시작되고 며칠 안에 물을 주로 마신다는 것도 발견했어. 우리가 참았던 갈증을 한꺼번에 해소하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기원전 4세기 그리스와 중국에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죠. 고대 전쟁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 중 하나는 성에 틀어박힌 적군을 상대하는 일이었어요. 투석기는 이때 돌을 던져 성벽을 무너뜨리거나 성벽 너머의 적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죠. 돌뿐만 아니라 더러운 오물이나 전염병으로 죽은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여 편에 이른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지상파와 케이블을 통해 몇 차례 방영됐으나 그다지 큰 인기를 끌지 못했다. 필자는 그 이유가 ‘스타트렉’의 모든 에피소드에서 도입부로 등장하는 다음 문구에 있다고 생각한다. “우주, 최후의 개척지(frontier). 우주선 엔터프라이즈호는 항해한다. 이들의 ...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정확한 복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많이 복용한다고 해서 그만큼 체중 감량 효과가 큰 것인지도 불분명합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섭취로 인한 일반적인 부작용(두통, 소화기관 장애)은 12주까지는 대체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최장 복용 기간인 3개월간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간이 조금 걸렸지만, 그래도 학교에서 심화수업과 실무 교육에서 수행했던 과제들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전 학과장은 “기존의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의 교과과정을 토대로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교과과정을 구성했고, 수업의 질을 석사과정 수준까지 끌어올리려고 노력한다”며 “학부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행을 위해서 어떻게 팀원들을 이끌고 함께 일해야 할 지 배울 수 있었던 것을 가장 큰 행운으로 꼽았다.실제로 그는 2006년 7월 미국 플로리다주 바닷속에서 진행된 NASA의 열 번째 극한 환경 미션 수행 프로그램(NEEMO)에서 선장으로 일했고, 이후 NASA 우주인 사무국 등에서 오랜 시간 리더십을 ...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수 있었던 비결이라고 생각해요. 또, 부모님께서 전혀 뭐라고 하시지 않았던 것도 큰 이유죠. 초등학생 때도 ‘엄마, 나 천문 관측회 갔다가 3일 뒤에 올게.’라는 메모만 남기고 2박 3일 천문 관측회에 다녀올 정도였으니까요. 친구들도 스스로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고, 직접 해 ...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많거든요. 우리나라에도 이런 용암 동굴이 많아요. 대표적인 곳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화산섬, ‘제주도’죠. 만장굴을 비롯해 협재굴, 빌레못동굴 등 제주도 안에만 130개 이상의 용암 동굴이 있답니다. 용암 동굴은 그 이름에서 만들어진 과정을 유추할 수 있어요. 바로 화산에서 흘러나온 ... ...
- [섭섭박사 메이커 스쿨] 아크릴 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이상 강한 플라스틱이에요. 유리는 깨졌을 때 날카로운 파편들이 생기는 반면, 아크릴은 큰 덩어리로 쪼개져 더 안전하답니다. 그래서 아크릴은 유리를 대신할 재료로 손꼽히지요. 유리 대신 아크릴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곳은 수족관이에요. 거대한 수조를 유리로 만들면 유리가 물의 무게를 버티지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