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의 대화를 정리한 ‘대담’이라는 책을 읽고 거기서 느낀 점을 자기소개서에 썼다. 초등학교 때부터 꿈을 갖고 조금씩 미래를 준비해 온 그에게 가장 힘들었던 시간은 수능 시험 일주일 뒤에 치른 구술고사였다. 그는 “다른 친구들은 수능 시험이 끝나서 마냥 즐겁게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논술도 마찬가지다. 실제 합격자 점수는 2016학년도 평균 60점대에서 2017학년도에는 평균 70점대로 상승했다. 또한 실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8학년도에도 문제의 난이도가 많이 낮아져서 그 보다 더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쉬워진 논술이라면 해볼 만하지 않겠는가? ... ...
- [특별 페이지] 미리 보는 러시아 월드컵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저는 공격과 수비의 균형이 잘 잡힌 브라질에게 한 표를 주고 싶습니다. 브라질의 단점은 선수층이 얇다는 건데 브라질이 속한 E조의 상대팀이 다른 조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문제 없을 거예요. 이번 조 편성을 보면 프랑스, 브라질, 스페인, 독일이 모두 4강에 올라올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가 ... ...
- 우승국은 독일일까 프랑스일까? 2018 러시아 월드컵 전격 예측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엘로가 고안한 점수 체계로, 점수가 높은 팀과 대결해 이기면 점수가 많이 오르고, 지면 점수가 조금 떨어진다. 그러니 저처럼 직접 간단한 가정만으로 2018 러시아 월드컵을 예상해 보는 건 어떨까요? 그러고 나서 경기를 보면 좀 더 재미있게 월드컵을 즐길 수 있을 겁니다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얼굴과 행동 패턴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다시 만나면 또 도망쳐야 할 거예요. 상점 주인도 마찬가지입니다. 똑같은 대화를 주고받는 게 아니라 플레이어의 얼굴과 표정을 인식해 이름을 부르거나 안부를 묻고, 내가 자주 사는 물건을 기억해서 권하기도 하지요. 몇 번 마주하다 보면, 실제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이어 붙인 뒤, 빨간색 선을 따라 4조각만 잘라낸다. 그러면 점선의 중점이 대칭점인 점대칭 도형이 되고, 이를 활용해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다. 준정다면체인 육팔면체는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이어 붙여 유닛을 만들 수 있다.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무게중심으로 중심 분할해 ➋처럼 빨간색 선을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되겠죠? 이제 사각형으로 클라인 병을 만들 준비는 다 됐어요. 사각형 중에 어떤 꼭짓점이 같아야 할까요? 화살표는 어떻게 그려야 할까요? 정답은 원환면에서 화살표 방향 하나만 바꾸면 된답니다. 그래서 클라인 병을 원환면을 비튼 거라고 말하지요. 이제 이 위를 걸어 볼게요. 가로로는 언제나 ... ...
- 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로렌츠 법칙을 만들었습니다. 인구의 누적 비율과 소득의 누적 점유율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냈는데, 실제 곡선과 소득이 균등할 때의 이상적인 직선이 이루는 면적의 차이로 불평등한 정도를 나타냅니다. 이처럼 그래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부등식의 영역’을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의대 유전학부 선임연구원은 “종양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성을 갖기 시작하는 지점을 알아내 차단하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롤린 허터 국립인간유전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유전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만큼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효과 적일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이미징’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소금새우가 붉은 빛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 ...
이전245246247248249250251252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