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름의 드론들은 LED 빛을 밝히며 하나의 모양을 만들지요. 하지만 여기서 더 놀라운 점은 1218대의 드론을 조종하는 건 단 한 대의 컴퓨터란 사실이에요.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중앙컴퓨터에는 세 가지 프로그램이 있어요.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과 각 드론의위치 신호 및 배터리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좁은 우리나라의 지형학적인 특성 상, 육지를 통한 기구의 회수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도 연구를 시작한 뒤에야 알게 됐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거의 2세대 정도 늦게 시작된 국내 과학기구 연구가 다행히 뛰어난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활용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과학기구 연구가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건설에 필요한 첨단 기술을 국산화하고, 다양한 분야에 관련 기술을 확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가속시키는 입자는 다르더라도 가속기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은 기본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강 수석연구원은 “가속기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토목과 건축, 제어, 진공, 전자 등 ...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CrebA’라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킬 경우 손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진의 최종 목표는 퇴행성 뇌질환의 명확한 발병 기작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건강한 뇌를 유지하는 핵심 원리를 찾는 것이다. 신경세포가 기능을 서서히 상실하는 과정이 노화다. 퇴행성 뇌질환 ...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입구를 향해 가는 적을 잡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어. 팬은 모든 동물의 위치를 점으로 보고 보로노이다이어그램을 그려 실시간으로 적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측정했어. 팬이 제안한 방법은 입구에서 가까운 추격자만 직접 적을 향해 가고 나머지는 적에게 접근해 적이 움직일 수 있는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체험전이나 수학구조물 만들기 대회 같은 행사를 평화의 무대가 된 판문점에서 열어 수학을 남북 학생들이 함께 즐기다 보면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다가올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안을 제시했다. 한반도의 평화는 이제 시작이다. 수학 교류도 이제 시작이다. 남과 북 학생들이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품질이 떨어지는 건 아니다. 로이비즈에서 4년 동안 공들여 개발한 알찬 SW다. 한캐드는 점이나 선, 면, 도형, 공간과 같은 대상을 다루는 수학 분야인 기하학을 기반으로 만들었다. 한캐드를 실행하면 왼쪽에 입체도형이 있는 창이 있는데, 필요한 입체도형을 클릭하면 주요 화면에 도형이 나타난다.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전자가 강하게 발현되는 꽃들만 선별해서 키운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장미의 색깔은 점점 짙어졌고, 향기는 옅어졌다. 최 교수는 “인류의 필요에 따라 동식물의 특정 성질이 강화 되거나 퇴화되는데, 이를 ‘사육화(domestication)’라고 한다”며 “장미도 사육화 과정을 거치며 색은 짙어지고 향은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돔 내부에 핵연료봉이 차폐된 형태이고, 우리나라의 연구로는 개방된 수조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제염-절단-철거-복원’이라는 해체의 기본 과정은 동일하다. 비핵화의 핵심, 재처리 시설재처리 시설은 사용후핵연료에서 핵폭탄의 원료인 플루토늄을 추출하는 시설이다. 플루토늄은 ... ...
- Part 1. 韓 가속기 굴기 ‘ 입자 공장’ 라온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시작한 입자는 초기 운동에너지가 핵자당 500keV(킬로전자볼트·1keV는 1000eV)였다가 종료점에서는 18.5MeV으로 37배가량 커진다. 이들 가속관은 초전도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해 2~4개씩 짝을 이뤄 54개의 저온유지용기(모듈) 안에 담긴다. 전단부에 위치한 22개의 모듈은 영하 269도(4K·절대온도 4도),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